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728x170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 전시 외에 기획전이 함께 열립니다. 이번에는 우리 문화재의 걸작이라 할 수 있는 반가사유상 두 점을 동시에 전시하는 사유의 방이 열렸고 호랑이 해를 맞이해 호랑이 그림을 한곳에서 볼 수 있는 전시가 있었습니다. 설 연휴 기간 두 전시를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 장면들을 사진으로 담았습니다. 

 

 

 

 

사유의 방 입구 마음을 울리는 문구 

 

 

나란히 자리한 국보 78호, 83호 반가사유상, 마치 무한한 우주의 공간 속에 자리한 듯했습니다. 어둠 속에 밝게 빛나는 반가사유상을 보니 저절로 마음이 차분해 짐을 느꼈습니다. 

 

반가사유상은 석가모니가 왕국의 싯타르타 태자 시절 생로병사 등의 인간의 삶에 대해 고민하고 명상에 잠긴 모습을  형상화했습니다. 이 때문에 사찰 등에서 보는 부처님 상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현세에서 고민하는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은 우리의 모습 그 자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반가사유상은 미래의 구세주인 미륵보살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또한, 반가사유상은 일본에도 전해져 목조 조각으로 같은 모습의 반가사유상이 존재합니다. 삼국시대 일본에 전해진 문화, 예술은 일본의 고대 아스카, 하쿠호 문화에 큰 영향을 줬습니다. 반가사유상 역시 그런 흐름 속에 있습니다. 중국에서 삼국으로 전해진 불교 미술이 다시 일본으로 전해지는 문화의 흐름이 반가사유상에 담겨 있습니다. 

 

 

국보 78호 반가사유상, 삼국시대였던 6세기 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불상 형식과 형태를 함께 갖추고 있고 어느 나라의 작품인지는 여러 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머리에 쓴 왕관부터 의복이나 신체 각 부분까지 매우 섬세하고 화려한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국보 83호 반가사유상, 78호 반가사유상보다 조금 늦은 7세기 초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화려함은 덜하지만, 신체의 균형이 더 잘 잡혀있고 미소짓는 얼굴의 이목구비가 더 뚜렷합니다. 그 크기도 청동으로 제작된 불상 중 가장 크고 주조 기술에서 한 층 더 발전된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머리에 쓴 연꽃 모양의 관은 인도나 중국의 보살상에서도 보기 힘든 독특함이 있습니다. 중국이나 인도에서 전해진 불교 예술이 삼국시대 각 국에서 더 발전되고 진화되었음을 보여준다 할 수 있습니다. 그 은은한 미소와 함께 과거의 어느 시점과 함께 했습니다.

 

 

두 작품과 함께

 

과거에는 유리관에 있는 반가사유상을 박물관에서 보곤 했었는데이런 귀한 문화재를 가까이에서 보고 느낄 수 있다는 게 너무 반가웠습니다. 귀한 반가사유상 2점을 동시에 볼 수 있어 더 귀한 시간이었습니다.  지금 만들어도 어려울 더 섬세함과 잠든 듯 아닌 듯 미소 속에서 고뇌하는 모습에 자꾸만 빠져들었습니다.  저 미소 속에 담긴 의미가 무엇일지 마음속의 숙제로 남겨두고 또 다른 전시관으로 향했습니다. 

 

 

호랑이 그림이 그려진 병풍

 

호랑이 해를 맞이해 호랑이 그림이 그려진 작품들을 한 곳에서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조선시대 민화나 풍속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호랑이들의 다양한 모습을 살필 수 있었습니다. 

 

 

날카롭게

 

 

변화하는 호랑이 모습

 

조선시대 호랑이는 공포의 대상이었습니다. 역사 기록에도 호랑이로 인해 매 년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는 일이 많았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도성인 한양에서 호랑이 출몰할 정도로 호랑이는 일상 속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한 편으로 호랑이는 숭배와 경외의 대상이었습니다. 이에 민간 신앙과 연결되어 호랑이가 액운을 막아주고 복이 들어오게 하는 존재가 됐습니다. 과거 단군 신화에서도 등장하는 호랑이가 조선시대 일반 백성들의 삶 전반에 자리했다 할 수 있습니다. 

 

 

무서움을 덜어낸 호랑이 그림

 

각 작품에서 무섭고 날카로운 인상의 호랑이 모습이 시대 흐름 속에 재미있게 묘사되기도 하고  신선을 지키는 수호신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림 속에서 호랑이는 친숙한 존재로 변하고 있습니다. 사냥을 통해 호랑이를 잡아 개최수를 조절하고 그 가죽이 중요한 기호품이 되는 현실에서 호랑이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이나마 덜어낸 결과물일지도 모릅니다. 그림들은 호랑이와 사람들의 공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의 삶 속에 함께 했던 호랑이였지만 이제는 한반도에서 그 모습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일제 강점이 일제에 의한 무분별한 남획으로 호랑이는 멸종의 길을 걸어야 했습니다. 동물원이나 그림, 각종 미디어 자료에서만 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점에서 과거 누군가가 그린 호랑이 그림들은 이 땅에서 번성했던 호랑이의 역사를 보여주는 귀한 자료들이었습니다. 

 

이렇게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중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또 다른 기획전을 기대해 봅니다. 

 

 

사진, 글 : jihuni74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