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삼성은 젊고 빨라졌습니다. 가능성 있는 젊은 타자들이 한꺼번에 잠재력을 폭발시키면서 팀 분위기도 활기차게 변한 듯 하더군요. 물론 가을 야구 탈락이라는 댖가를 치른 결과이긴 하지만 삼성의 전력은 앞으로의 시즌들이 더 기대되는 모습이었습니다. 넓은 선수층은 붙박이 외야수 박한이 선수를 벤치에 앉히는 사태를 자주 발생시켰고 팀의 기동력과 타격의 힘 모두에서 그 전력을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작년 시즌만 놓고 본다면 삼성을 지탱하는 힘은 불꽃 타선의 폭발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2009년 크게 성장한 젊은 사자들은 2010년에도 팀의 주축으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채태인, 박석민, 최형우 선수에 뒤늦게 기량이 만개한 강봉규, 신명철 두 중견 선수, 군에서 제대한 선수들까지 전력의 깊이를 더하고 있습니다..
프로야구의 역사가 쌓이면서 기록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통산 신기록을 가지고 있는 선수에 대한 가치와 평가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 선수가 아직도 현역에 있다면 어떨까요? 그 선수를 좋아하는 팬들은 그에게 "신" 이라는 명칭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KIA의 살아있는 전설 이종범 선수와 삼성의 영원한 3할타자 양준혁 선수가 대표적입니다. 이종범 선수는 작년 시즌 10번째 우승의 주역이 되면서 팀과 개인의 영광을 함께하면서 당당한 재 계약에 성공했고 더 많은 기록을 쌓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삼성의 양준혁 선수는 기로에 선 2010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연봉 계약에서도 대폭적인 삭감을 감수해야했고 주전 경쟁속에 놓여 있습니다. 1969년 생인 양준혁 선수는 이제 나이가 40을 훌쩍 넘었..
삼성 라이온즈, 프로야구 초창기부터 강팀의 이미지를 계속 유지해오는 팀입니다. 제가 좋아는 롯데 자이언츠와 함께 팀명이 바뀌지 않은 팀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그들에게는 채워지지 않는 것이 있었습니다. 항상 우승의 문턱에서 좌절하는 가을야구 징크스는 강팀의 이미지를 퇴색하고 있었습니다. 모 그룹이 항상 최고를 지향했기에 구단은 초조했고 언제 부터인가 삼성은 감독들의 무덤이 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우승을 향한 그들의 노력은 계속 되었고 순혈주의를 버린 김응룡 감독과 선동렬 감독의 영입으로 우승의 꿈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그들에게는 어렵게 이룬 우승이었지만 그 이면의 비판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FA 초창기 삼성은 막대한 자금력으로 자유계약 선수를 싹쓸이 했고 이는 선수들의 몸값을 크게 올리는데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