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마가 다시 현실이 됐다. 일본에서 열렸던 2023 WBC 조 예선에 출전했던 야구 대표팀 선수 일부가 유흥업소에서 음주를 즐긴 사실은 썰이 아니었다. 최근 SNS 등을 통해 제기된 이 문제는 야구팬들의 입에서 전해졌고 공론화됐다. KBO에서도 이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결국, 영어 이니셜로 거론되던 선수들의 실명이 밝혀졌다. SSG의 좌완 에이스 김광현과 NC의 마무리 투수 이용찬, 두산의 불펜 투수 정철원은 관련 사실을 인정하고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공식적인 사과를 했다. 하지만 인터넷 커뮤니티와 언론에서 보도한 내용 중 일부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님을 항변하기도 했다. 대회 기간 중 음주를 하지 말라는 규정은 없다. 프로선수들이고 그들의 행동 모두를 통제하는 건 불가능하고 그렇게 해서는 안 될 일..

한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충격적인 3회 연속 1라운드 탈락으로 국내에서의 열기는 식었지만, 2023 WBC가 이전 대회를 크게 능가하는 흥행과 함께 야구팬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야구팬을 보유한 미국과 일본의 선전도 영향을 주고 있지만, 경기의 박진감과 선수들의 경기에 임하는 태도는 마치 월드컵 축구를 연상하게 하고 있다. 이제는 WBC가 야구의 월드컵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이다. WBC는 애초 이벤트성 성격이 큰 대회였다. MLB가 주관하는 이 대회는 프로선수들이 모두 참가하는 국가대항전을 통해 야구의 저편을 넓히려는 취지로 2006년부터 시작됐다. 시작은 거창했지만, 프로리그가 활성화된 나라가 전 세계에서 얼마 안 되는 상황에서 국가별 수준차가 매우 컸다. 참가국 수준도 많지..

2023 WBC는 8강전을 지나 4강 전으로 대회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이 예선 라운드를 통과했지만, 8강과 4강을 위한 여정을 지속할 수 있었지만, 결과는 3회 연속 1라운드 탈락이었다. 이와 관련해 많은 비판과 분석, 야구 수준 향상, 국가대표팀의 경기력과 관련한 이야기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런 이야기들은 그동안 야구 국가대표팀의 부진의 결과 후 따라오는 일이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그동안 계속 반복됐다. 실패 속에서 더 나아질 방안을 찾지 못하거나 현재의 자리에 안주해 넘겨버렸기 때문이었다. 이제는 시간의 흐름과 그 속에 있는 망각이라는 단어 속으로 대표팀의 실패를 묻어두기 어렵게 됐다. 당장 해결해야 할 과제, 세대교체가 눈앞에 있기 때문이다. 이번 WBC는 10년 넘게 대표팀의 주축을 이뤘던 ..

세 번째 실패, 3연속 2023 WBC 1라운드 탈락의 결과를 가지고 야구 국가대표팀의 귀국했다. 실망스러운 결과 탓에 야구 대표팀 감독과 선수들은 굳은 표정이 가득했다. 야구팬들 역시 비판이 아닌 무관심으로 선수단을 맞이했다. 이는 결과에 대한 실망감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대표팀의 실패에 대해 여러 분석들이 나오고 이런 실패를 더는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는 되는 모두 공감하고 있고 이에 대한 의견들이 언론들을 통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런 분석과 의견들을 이전 대회의 실패 이후에도 나왔고 재탕, 삼탕이 대부분이다. 즉, 야구 국가대표팀의 문제는 오래전부터 있었고 이에 대한 해결책도 있었지만, 실천과 행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밖에는 설명이 안된다. 이번 대회는 그동안의 해결책에 대한 실행을 더..

우려는 결국 현실이 됐다.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 여겼고 나름의 준비도 했다. 방심하는 마음도 없었고 분석도 했다. 하지만, 결과는 WBC 대호 연속 1라운드 탈락이었다. 2023 WBC에 출전한 야구 국가대표팀의 결과물이다. 대표팀은 꼭 승리해야 할 호주전 패배로 큰 타격을 입었고 이어진 일본전에서 예선 탈락을 인증했다. 결과만큼이나 내용면에서도 아쉬움이 가득한 대회였다. 특히, 마운드의 부진이 너무 아프게 다가왔다. 타격 역시 몇몇 선수를 제외하면 국제 경쟁력에서 의문부호를 가지게 했다. 한 수 아래로 여겨졌던 호주전 패배가 과연 이변이었는지도 의문시되는 경기력이었다. 선수 대부분이 별도 직업을 가지고 있는 세미프로 선수들로 구성된 체코전마저 어려운 경기를 한 대표팀을 보면서 더 이상 우리가 야구 강국..

2023 WBC에서 한국 야구 대표팀이 마침내 3경기 만에 첫 승을 기록했다. 대표팀은 3월 11일 조 예선 3차전 체코와의 경기에서 경기 초반 타선의 폭발과 선발 투수 박세웅의 호투를 더해 7 : 3으로 승리했다. 이 승리로 대표팀은 2패 후 1승을 기록했고 8강 진출을 위한 실낱같은 희망을 이어가게 됐다. 물론, 대표팀의 바라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낙타가 바늘을 통과하는 정도의 수준이라 해도 과언이다. 대표팀은 3월 13일 열리는 중국과의 조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승리를 해야 하고 호주가 3월 12일 일본전에 3월 13일 체코전에 모두 패해야 한다. 그 경우 한국, 호주, 체코가 모두 2승 2패가 되고 세 팀을 세 팀 간 대결에서의 실점률을 따져 가장 낮은 실점률의 팀이 8강에 진출했다. 이에 따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