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야구 신인왕은 그 대상이 극히 한정되어 있는 탓에 수상의 가능성이 낮다. 신인왕 수상에는 주목할 만한 성적이 필요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1군 엔트리 진입 경쟁을 이겨내야 한다. 하지만 최근 프로야구는 신인 선수들에게 쉽게 1군 엔트리 자리를 허락하지 않는다. 신인 선수들의 수준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그만큼 프로야구 수준이 올라갔다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단 후 상당 기간을 경과해 두각을 나타내고 신인왕 경쟁을 하는 선수들도 있다. 가끔 함량 미달의 신인왕 수상자에 대한 아쉬움도 있지만, 생애 한 번만 받을 수 있는 신인왕의 가치는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신인왕을 보유한 소속 구단 역시 스카우트 성공이라는 성과를 얻어낼 수 있고 육성 시스템에 대한 긍정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이 점에서..

프로야구 새 시즌을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각 팀별로 연습경기가 치러지고 있고 시범경기 일정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제 실전을 통해 엔트리를 결정하고 개막전을 준비하는 각 구단이다. 하지만 이런 시즌 준비에도 아직 팀을 결정하지 못한 선수가 있다. 두산 투수 이용찬이 그렇다. 이용찬은 2020 시즌 후 FA 자격을 얻었고 그 권리를 행사했다. 이용찬은 두산에서 마무리 투수와 선발 투수로 의미 있는 성적을 기록했다. 국가 대표의 경력도 있고 두산이 강팀으로 발돋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경험이 풍부하고 선발과 불펜이 모두 가능한 투수라는 점은 이용찬의 장점이었다. 1989년생으로 30대 초반의 나이라는 점은 아직 기량을 유지할 가능성을 높였다. 보통의 경우라면 FA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을 수 있..

장기간 감독 공백 상태에 있었던 키움 히어로즈가 스프링 캠프가 열리기 직전 홍원기 신임 감독 선임을 발표했다. 키움은 지난 시즌 후반기 손혁 감독의 돌연 사퇴와 감독대행 체제 후에도 감독 선임이 지연되고 대표이사까지 공석이 길어졌다. 키움은 새로운 대표이사 선임과 감독 선임을 하면서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홍원기 감독의 선임은 팀 안정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홍원기 감독은 히어로즈의 전신인 현대 유니콘스 선수로 은퇴를 했고 전력 분석원을 거쳐 코치로 일했다. 그는 현대 유니콘스가 히어로즈로 바뀌는 변화가 함께 했고 히어로즈가 메인 스폰서인 우리, 넥센, 키움으로 그 간판을 바꾸는 과정에서도 팀과 함께 했다. 지난 시즌에는 손혁 감독 체제에서 수석코치로 있었다. 손혁 감독 사퇴 이후 감..

2021 시즌을 준비하는 롯데가 얼마 전 코치진 개편을 발표했다. 지난 시즌 정규리그 7위에 머물렀지만, 발전된 경기력을 보였던 롯데는 2020 시즌의 코치진을 그대로 이어갈 가능성이 컸다. 하지만 1군 투수, 주루 파트 코치가 팀을 떠나면서 그 공백을 메워야 했다. 롯데는 지난 시즌 2군에서 활약했던 이용훈 투수코치와 임경완 불펜코치가 1군으로 자리를 옮겼고 강영식 투수 코치가 2군 투수 코치가 됐다. 또한, 지나 시즌 플레잉 코치였던 나경민 코치가 1군 주루 코치로 선임됐다. 기존의 외국이 타격 코치 라이언 롱과 베터리 코치 행크 콩거(최현) 코치는 유임됐다. 허문회 감독과 호흡을 맞춘 박종호 코치, 윤재국 작전, 주루 코치도 팀과 함께 하게 됐다. 데이터 야구 강화를 위해 지나 시즌 신설한 퀄리티 ..

NC의 중심 타자 나성범의 메이저리그 진출이 일단 멈춤이 됐다. 올 시즌 후 메이저리그 진출 자격을 얻은 나성범의 메이저리그 포스팅이 실패했기 때문이다. FA 신분이 아닌 나성범은 소속 구단 NC의 승인을 얻어 포스팅을 신청했지만, 원하는 결과는 없었다. 아쉬운 결과였지만, 나성범과 구단의 상황에 따라 아쉬움의 차이는 크다. 물론, 가장 크게 아쉬운 건 나성범이다. 나성범은 일찍부터 메이저리그 진출에 대한 의지가 강했다. 메이저리그 최고 에이전트인 보라스와 손잡은 건 그 의지의 표현이었다. 보라스 역시 나성범의 상품성을 인정한 결과였다. 나성범은 2012년 NC 다이노스의 창단 멤버로 합류해 리그 정상급 타자로 성장한 팀의 역사와 함께 한 선수다. NC로서는 짧은 팀 역사에도 프랜차이즈 스타로 상징성이 ..

2020 시즌은 한화에서 기억하기 싫은 시간이었다. 한화는 프로야구 최다 연패인 18연패와 동률을 이루며 시즌 초반부터 극심한 부진에 빠졌다. 투. 타의 균형을 완전히 무너졌다. 2018 시즌 한화를 정규리그 3위에 올리며 리더십에서 호평을 받았던 레전드 출신 한용덕 감독은 시즌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팀을 떠났다. 한화는 2군을 총괄하던 최원호 감독 대행 체제로 변화를 시도했지만, 그들의 연패는 계속됐다. 자칫 연패 신기록을 달성하기 직전 한화는 가까스로 연패를 끊었다. 하지만 연패 탈출 이후에도 한화는 반전하지 못했다. 한화는 최원호 감독대행 체제에서 코치진을 대거 교체하고 무기력증에 빠진 팀에 자극을 주기 위해 1군을 선수들을 대거 2군에 보내는 파격도 시도했지만, 효과는 크지 않았다. 여기에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