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170
2010년 롯데를 지탱하는 힘은 그 힘이 크게 배가된 강력한 타선과 함께 무리없이 로테이션된 선발진 운영에 있었습니다. 확실한 에이스는 없었지만 사도스키, 송승준, 장원준 3인방은 두 자리수 승수를 기록하면서 팀을 이끌었고 뒤 이어 가세한 이재곤, 김수완 두 명의 영건들은 기존 3인방을 잘 뒷받침 하면서 롯데가 후반기 뒷심을 발휘하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기존 3인방에 이재곤, 김수완 선수등이 가세하는 내년 시즌 롯데의 선발진은 타팀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선발진입니다. 다양한 유형의 선수들의 조화를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긴 이닝을 소화할 수 있는 이닝이터 능력까지 지닌 조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선발진에 롯데는 또 다른 선발요원을 충원하면서 선발진의 더 두텁게 만들었습니다.
함량 미달이라는 평가를 받고있지만 일본 프로야구 출신의 외국인 투수 브라이언 코리 선수를 영입했고 전도 유망한 선발투수인 고원준 선수를 넥센에서 트레이로 영입했습니다. 그 보직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롯데구단은 이들을 선발요원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6선발 체제가 아니라면 기존 선발투수들을 긴장하게 만드는 선수 영입입니다. 큰 경쟁없이 선발진이 고정될 것이라는 예상이 빚나간 것입니다.
브라이언 코리 선수는 선수생활의 대부분을 불펜에서 활약했지만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운영능력과 다양한 변화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 베일을 벗지 않았지만 생소한 그의 구질이 어떤 경과를 낳을지 알 수 없습니다. 많은 연봉을 지불하고 영입한 선수이고 마무리에서 크게 성공한 외인 투수들이 거의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선발진의 일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넥센으로 부터 논란속에 영입된 고원준 선수는 고졸 2년차의 어린 투수지만 나이답지 않은 경기 운영능력과 만만치 않은 구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록 그 승수는 5승에 머물렀지만 맞대결 상대가 상대팀 에이스인 경우가 많았고 소속팀 넥센의 전력 약화에 따른 타선 지원 부족 등이 겹치면서 아쉬운 경기가 많았습니다. 넥센에 비해 공력력이 월등한 롯데라면 거기에 풀타임 선발 경험을 더한 고원준 선수임을 감안하면 더 많은 승수를 올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진출처 : 롯데자이언츠 홈페이지)
이런 두 선수의 영입은 기존 3인방 보다 신예 선발 요원인 이재곤, 김수완 선수의 선발 수성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재곤 선수는 최근 거의 볼 수 없는 언더핸드 선발투수라는 희소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빠른 공은 아니지만 좌우 코너를 찌르는 제구력과 날카롭게 떨어지는 싱커는 상대팀 타자들에게 까다로움으로 다가왔습니다. 기복없는 투구로 긴 이싱을 소화하면서 불펜의 과부하를 덜어주는데 기여한 점은 내구성에도 문제가 없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시즌 후반 상대의 집중 분석에 따른 구질이 파악되면서 이재곤 선수에 대한 공략법이 나타났고 그 방어율이 크게 상승된 점은 불안요소입니다. 올해 첫번째 풀타임 선발투수가 되는데 따른 채력문제와 언더핸드 투수의 고질적인 부상위험까지 그의 풀타임 선발투수 안착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들은 상존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신예 선발인 김수완 선수는 2군에서조차 이름이 생소한 선수였지만 감독의 전격 발탁으로 1군무대에 설 수 있었습니다. 부상 선수가 속출하는 와중에 김수완 선수가 거둔 수 차례 선발승은 롯데 마운드의 숨통을 틔게 하는 값진 승리였습니다. 강속구는 아니지만 큰 키를 이용한 높은 타점의 직구는 공끝에 힘이 있었고 이 낙차큰 포크볼은 그를 위협적인 투수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왜소한 체격에서 보듯 고질적인 체력저하 문제는 그를 풀타임 선발로 가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1~3선발을 제외한 선발 두자리에 들어설 젊은 투수들은 아직 완성형 선수들이 아닙니다. 2년차 징크스의 우려도 남아있습니다. 동계 훈련기간 또 다른 선발 경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브라이언코리 선수와, 고원준, 이재곤, 김수완 선수의 선발 경쟁이 동계 훈련을 뜨겁게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불펜진의 강화를 강조한 롯데지만 이에 대한 보강을 하지 못한 상황에서 선발경쟁에서 탈락한 선수들은 불펜에서 활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선발요원 두 명의 영입은 선발진의 강화와 함께 팀내 경쟁구도 정립, 더 나아가 불펜진의 강화까지 염두에 둔 포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올 시즌 손민한, 조정훈 선수의 부상 공백과 장원준 선수의 일시적인 부상 공백으로 선발투수 난에 시달렸던 것을 감안하면 크게 달라진 모습입니다. 5인 선발 체제가 굳어진 것으로 여겨졌던 롯데에 선발진입을 위한 경쟁구도가 형성된 것입니니다. 이런 경쟁은 팀에 큰 활력소가 될 수 있고 팀전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요인임에 틀림없습니다.
또한 이들을 일부를 불펜에 기용하게 된다면 고질적인 불펜 약화의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매 시즌 롯데가 해결하지 못하는 과제인 마무리 투수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를 찾을수도 있습니다. 강력한 마무리의 부재는 항상 롯데를 괴롭히는 요인이었고 롯데가 좀 더 상위권으로 올라가는데 큰 장애물이 되었습니다.
선발진의 두터움은 선발 투수중 마무리 투수로의 보직 전환을 가능케 할 수 있습니다. 롯데 선발 3인방 중 한명의 마무리 전환 가능성도 타진될 수 있습니다. 물론, 보직 전환에 따른 적응문제와 선수의 의지가 중요한 변수가 되겠지만 이러한 시도를 고려할 수 있다는 것으로도 전력의 큰 플러스 요인이 생긴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구단으로서도 동계 훈련기간 이 가능성을 열어둘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구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중복 투자의 비판을 피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부상에 시달리고 있지만 불펜의 핵이었던 이정훈 선수를 트레이드한 상황에서 이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지 지지 못한다면 강력한 선발진 구축의 의미가 퇴색할 수 밖에 없습니다. 선발에서 불펜으로 이동한 선수가 이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선발과 불펜이 모두 약화되는 최악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롯데는 선발 마운드 강화를 선택했습니다. 결국 코칭스탭의 역량과 훈련의 성과에 따라 투수진의 강화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롯데가 투자의 성과를 제대로 얻을 수 있을지 잘못된 투자의 댖가를 치르게 될지 내년 시즌 그 결과가 주목됩니다.
기존 3인방에 이재곤, 김수완 선수등이 가세하는 내년 시즌 롯데의 선발진은 타팀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선발진입니다. 다양한 유형의 선수들의 조화를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긴 이닝을 소화할 수 있는 이닝이터 능력까지 지닌 조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선발진에 롯데는 또 다른 선발요원을 충원하면서 선발진의 더 두텁게 만들었습니다.
함량 미달이라는 평가를 받고있지만 일본 프로야구 출신의 외국인 투수 브라이언 코리 선수를 영입했고 전도 유망한 선발투수인 고원준 선수를 넥센에서 트레이로 영입했습니다. 그 보직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롯데구단은 이들을 선발요원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6선발 체제가 아니라면 기존 선발투수들을 긴장하게 만드는 선수 영입입니다. 큰 경쟁없이 선발진이 고정될 것이라는 예상이 빚나간 것입니다.
브라이언 코리 선수는 선수생활의 대부분을 불펜에서 활약했지만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운영능력과 다양한 변화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 베일을 벗지 않았지만 생소한 그의 구질이 어떤 경과를 낳을지 알 수 없습니다. 많은 연봉을 지불하고 영입한 선수이고 마무리에서 크게 성공한 외인 투수들이 거의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선발진의 일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넥센으로 부터 논란속에 영입된 고원준 선수는 고졸 2년차의 어린 투수지만 나이답지 않은 경기 운영능력과 만만치 않은 구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록 그 승수는 5승에 머물렀지만 맞대결 상대가 상대팀 에이스인 경우가 많았고 소속팀 넥센의 전력 약화에 따른 타선 지원 부족 등이 겹치면서 아쉬운 경기가 많았습니다. 넥센에 비해 공력력이 월등한 롯데라면 거기에 풀타임 선발 경험을 더한 고원준 선수임을 감안하면 더 많은 승수를 올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진출처 : 롯데자이언츠 홈페이지)
이런 두 선수의 영입은 기존 3인방 보다 신예 선발 요원인 이재곤, 김수완 선수의 선발 수성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재곤 선수는 최근 거의 볼 수 없는 언더핸드 선발투수라는 희소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빠른 공은 아니지만 좌우 코너를 찌르는 제구력과 날카롭게 떨어지는 싱커는 상대팀 타자들에게 까다로움으로 다가왔습니다. 기복없는 투구로 긴 이싱을 소화하면서 불펜의 과부하를 덜어주는데 기여한 점은 내구성에도 문제가 없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시즌 후반 상대의 집중 분석에 따른 구질이 파악되면서 이재곤 선수에 대한 공략법이 나타났고 그 방어율이 크게 상승된 점은 불안요소입니다. 올해 첫번째 풀타임 선발투수가 되는데 따른 채력문제와 언더핸드 투수의 고질적인 부상위험까지 그의 풀타임 선발투수 안착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들은 상존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신예 선발인 김수완 선수는 2군에서조차 이름이 생소한 선수였지만 감독의 전격 발탁으로 1군무대에 설 수 있었습니다. 부상 선수가 속출하는 와중에 김수완 선수가 거둔 수 차례 선발승은 롯데 마운드의 숨통을 틔게 하는 값진 승리였습니다. 강속구는 아니지만 큰 키를 이용한 높은 타점의 직구는 공끝에 힘이 있었고 이 낙차큰 포크볼은 그를 위협적인 투수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왜소한 체격에서 보듯 고질적인 체력저하 문제는 그를 풀타임 선발로 가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1~3선발을 제외한 선발 두자리에 들어설 젊은 투수들은 아직 완성형 선수들이 아닙니다. 2년차 징크스의 우려도 남아있습니다. 동계 훈련기간 또 다른 선발 경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브라이언코리 선수와, 고원준, 이재곤, 김수완 선수의 선발 경쟁이 동계 훈련을 뜨겁게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불펜진의 강화를 강조한 롯데지만 이에 대한 보강을 하지 못한 상황에서 선발경쟁에서 탈락한 선수들은 불펜에서 활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선발요원 두 명의 영입은 선발진의 강화와 함께 팀내 경쟁구도 정립, 더 나아가 불펜진의 강화까지 염두에 둔 포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올 시즌 손민한, 조정훈 선수의 부상 공백과 장원준 선수의 일시적인 부상 공백으로 선발투수 난에 시달렸던 것을 감안하면 크게 달라진 모습입니다. 5인 선발 체제가 굳어진 것으로 여겨졌던 롯데에 선발진입을 위한 경쟁구도가 형성된 것입니니다. 이런 경쟁은 팀에 큰 활력소가 될 수 있고 팀전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요인임에 틀림없습니다.
또한 이들을 일부를 불펜에 기용하게 된다면 고질적인 불펜 약화의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매 시즌 롯데가 해결하지 못하는 과제인 마무리 투수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를 찾을수도 있습니다. 강력한 마무리의 부재는 항상 롯데를 괴롭히는 요인이었고 롯데가 좀 더 상위권으로 올라가는데 큰 장애물이 되었습니다.
선발진의 두터움은 선발 투수중 마무리 투수로의 보직 전환을 가능케 할 수 있습니다. 롯데 선발 3인방 중 한명의 마무리 전환 가능성도 타진될 수 있습니다. 물론, 보직 전환에 따른 적응문제와 선수의 의지가 중요한 변수가 되겠지만 이러한 시도를 고려할 수 있다는 것으로도 전력의 큰 플러스 요인이 생긴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구단으로서도 동계 훈련기간 이 가능성을 열어둘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구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중복 투자의 비판을 피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부상에 시달리고 있지만 불펜의 핵이었던 이정훈 선수를 트레이드한 상황에서 이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지 지지 못한다면 강력한 선발진 구축의 의미가 퇴색할 수 밖에 없습니다. 선발에서 불펜으로 이동한 선수가 이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선발과 불펜이 모두 약화되는 최악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롯데는 선발 마운드 강화를 선택했습니다. 결국 코칭스탭의 역량과 훈련의 성과에 따라 투수진의 강화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롯데가 투자의 성과를 제대로 얻을 수 있을지 잘못된 투자의 댖가를 치르게 될지 내년 시즌 그 결과가 주목됩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스포츠 > 롯데자이언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회상실의 기로에 선 늦깍이 유망주 롯데 박종윤 (15) | 2011.01.11 |
---|---|
롯데 송승준, 좋은 선발에서 특급 선발 가능할까? (14) | 2011.01.07 |
로이스터 그림자에서 벗어나야 할 롯데자이언츠 (14) | 2011.01.03 |
먼 길을 돌아 롯데로 돌아온 최향남 (16) | 2010.12.27 |
롯데의 새 외국인선수 영입, 장고 끝 악수? (17) | 201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