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프로야구를 결산하면서 중요한 사건 중 하는 넥센의 선전이었다. 넥센은 전력약화와 새로운 홈구장 이전 등 어수선한 시즌 준비과정에도 시즌 초반부터 상위권 성적을 유지했고 정규리그 3위라는 성과를 거뒀다. 비록 포스트시즌에서 아쉽게 물러서긴 했지만, 넥센의 정규리그 3위는 누구도 예사이 못한 일이었다. 10개 구단 중 최하위의 선수 연봉에 강력한 외국인 선수를 보유할 수 없었고 운영비가 많이 들어가는 고척돔으로의 홈구장 이전은 재정이 넉넉지 않은 넥센에 큰 부담이었다. 여기에 시즌 도중 이장석 구단주가 송사에 휘말리는 악재까지 겹쳤다. 선수들의 집중하기 어려운 여건이었다. 하지만 넥센은 가지고 있는 선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며 최상의 결과를 만들어냈다. 그런 최상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데 큰 역할을 ..
올 시즌 전력 약화를 극복하지 못하고 정규리그 9위 머물렀던 삼성은 이번 스토브리그에 상당한 의욕을 보였다. 지난해 스토브리에서 중심 타자 박석민을 FA 계약으로 NC에 외국인 타자 나바로를 해외리그로 빼앗겼던 만큼 이번에는 내부 FA 선수들에 대한 계약 의지가 강했다. 그도 그럴 것이 올 시즌 후 FA 자격을 얻은 최형우는 팀의 4번 타자로 타선에서 비중이 상당하고 좌완 에이스 차우찬은 아직 20대의 더 발전할 수 있는 투수이기 때문이었다. 모기업이 변경된 이후 투자에 인색하다는 여론을 의식한 듯 삼성은 최형우, 차우찬에 상당한 배팅을 했다. 하지만 삼성은 이들이 타 구단 유니폼을 입는 것을 지켜봐야 했다. 최형우는 이전부터 계약설이 나돌았던 KIA행을 선택했고 차우찬 역시 시즌 후부터 이적설이 강하게..
프로야구에서 FA 투수와의 계약은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 정설이다. FA 신청 기한이 긴 탓에 FA 계약 시점에 상당수 투수들의 부상 위험에 크게 노출되어 있고 기량이 정점에서 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젊은 FA 투수들 특히, 선발 투수들의 가치가 폭등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투자 대비 효과를 모두 기대하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30대 중반의 FA 투수에 장기 계약을 안겨주는 것은 모험이 가까운 일이다. 롯데는 올 시즌을 앞두고 이 모험을 감행했다. 결과는 대실패였다. 롯데는 30대 후반의 나이에 접어든 송승준에서 4년간 40억원이라는 적지 않은 투자를 했지만, 그가 올 시즌 남긴 기록은 10경기 등판에 1승 2패 방어율 8.71이었다. 그나마도 후반기에는 부..
2016시즌 롯데는 불안한 마운드로 시즌 내내 고심해야 했다. 불안한 마운드는 롯데의 하위권 추락의 중요한 원인이었다. 롯데가 야심 차게 영입한 손승락, 윤길현 두 FA 듀오의 동반 부진으로 지난 시즌과 별반 다를 것이 없어진 불펜진은 물론이고 나름대로 자신감이 있었던 선발 마운드도 기대에 크게 못 미쳤기 때문이었다. 롯데는 지난 시즌 맹활약으로 재계약에 성공했던 외국인 원투펀치 린드블럼, 레일리가 이런저런 이유로 지난 시즌보다 못한 성적을 남겼고 오버페이라는 우려에도 FA 계약을 안겨주었던 베테랑 송승준은 부상과 구위 저하 현상을 보이며 일찌감치 전력에서 이탈했다. 제5 선발 투수 자원이었던 고원준은 구위가 살아나지 않았고 시즌 초반 등판이후 더는 기회를 잡지 못했다. 급기야 트레이드로 팀을 떠나고 말..
최근 프로야구에서 불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덩달아 FA 시장에서 불펜 투수들의 가치고 치솟고 있다. 이는 우리 프로야구뿐만 아니라 메이저리그에서도 그런 흐름이 강해지고 있다. 특히, 선발 투수들의 절대 부족한 우리 리그 사정은 불펜진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이런 흐름은 선발 투수 두 자리를 외국인 투수에 맡기고 가능성 있는 젊은 투수들을 불펜투수로 기용하는 패턴을 심화시켰다. 분명 좋은 현상은 아니지만, 성적을 끌어올리기 위한 나름의 전략으로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프로야구 롯데는 오랜 기간 마무리 투수를 비롯한 불펜진 운영에 있어 어려움을 겪었다. 확실한 마무리 투수가 없어 매 시즌 마무리 투수가 바뀌었다. 마무리 투수의 잦은 교체는 불펜진의 안정감을 떨..
유망주라는 말은 프로야구에서 가능성을 상징하는 단어지만, 기다림이라는 말도 함께 포함한다. 프로야구의 이력이 쌓여가면서 유망주의 틀을 깨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신인 1차 지명 선수가 빠른 시간내 1군에서 안착하는 비율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만큼 프로야구 수준이 높아졌다는 방증이지만, 이에 비례해 선수자원 부족이라는 문제를 크게 하고 있다. 이는 외국인 선수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FA 시장의 폭등을 불러왔다. 최근 팀별로 내부 육성을 강조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하지만 모든 팀이 성과를 내는 것은 아니다. 선수 육성은 이에 걸맞은 시스템과 기다림의 시간이 필요하다. 유망주라 불리는 선수 역시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건 당연한 일이다. 롯데 김문호는 그 점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