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승수 단장 부임 이후 큰 변화를 거친 드라마 속 만년 꼴찌팀 드림즈는 더 강해지고 잊고 있었던 야구에 대한 열정을 되찾았다. 대립과 반목, 패배주의,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부조리들을 걷어냈다. 백승수는 이전에 없었던 독창적인 방법으로 드림즈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냈다. 팀 체질 개선과 함께 과감한 트레이드와 선수 영입으로 전력도 강화했다. 시즌이 개막하는 시점에 드림즈는 우승을 꿈꿀 수 있는 팀이 됐다. 하지만 큰 시련이 그들에게 찾아왔다. 프로야구단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모 그룹이 전격적으로 프로야구단의 해체를 발표했기 때문이었다. 모 그룹은 그들의 사업상 필요에 의해, 연고지역의 여론 등을 고려해 프로야구단을 유지했지만, 투자에는 인색했다. 야구 경력이 없는 백승수를 단장으로 영입한 데에는 그가..

구단주 대행의 전횡과 부족한 지원, 구단 내부의 갈등까지 백승수 단장의 드림즈는 위기의 연속이다. 백승수는 그 속에서도 우승에 대한 희망을 놓지 않고 드림즈를 강하게 만들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야구단에 해악이 되는 구성원이었던 중심 타자와 스카우트 팀장을 과감하게 쳐내는 과감함을 보였다. 논란을 감수하고 병역회피 전력이 있는 선수를 외국인 투수로 영입하기도 했다. 백승수의 일처리는 단호했고 흔들림이 없었다. 심지어는 자신을 영입한 구단주 대행과의 대립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러한 백승수의 모습은 그에 대한 구단 직원들과 코치진, 선수들의 반감을 누그러뜨렸다. 하지만 드림즈의 변화는 내부와 외부에서 백승수를 흔드는 손에 의해 위태롭기만 하다. 궁극적으로 야구단 해체라는 모기업의 방침은 변함..

이전 회에서 드림즈의 선수단 연봉 총액 30% 삭감이라는 어려운 미션을 받아든 백승수 단장은 예상대로 선수들과의 연봉 협상이 순탄치 않았다. 백승수 단장은 선수 방출이라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이를 철회하고 모든 선수들은 안고 가기로 했기 때문이다. 수년간 최하위에 그친 팀 성적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주력 선수들이 쉽게 이를 이해하지 않았다. 여기에 전 스카우트 팀장 고세혁이 드림즈 주전 선수 상당수와 에이전트 계약을 맺고 협상 대리인으로 나서면서 상황은 더 어렵게 흘러갔다. 구단주 대행과 연결고리가 남아있는 고세혁은 비리 협의로 자신을 해고한 백승수에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구단의 협상 정보를 내부 공모자로부터 전달받은 고세혁은 구단과 강하에 대립했다. 벽승수는 교착 상태가 지속되는 연봉 협상의..

프로야구 구단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 스토브리그가 1, 2회로 이야기의 서막을 열었다. 그동안 야구를 소재로 한 드라마와 영화는 많았지만, 프로야구단을 운영하는 프런트를 스토리의 중심에 둔 드라마, 영화는 없었다. 대부분 야구 선수인 주인공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거나 야구는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소재로 활용되는 일이 많았다. 드라마 스토브리그는 프로야구 구단의 이면을 모두 반영하고 있다. 드라마에서 흔히 등장하는 러브라인도 최소화하고 야구 이야기로 스토리가 채워졌다. 야구를 잘 모르는 시청자들에게는 생소한 용어가 등장할 수도 있고 흥미가 반감될 수 있지만, 1, 2회는 긴장감 있는 전개로 지루함과는 거리가 있었다. 드라마의 사무실이나 경기장은 프로야구단 SK와이번스의 지원을 받아 현장감을 높였다. 1회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