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프로야구 순위 경쟁이 1강 7중 2약의 구도로 정리되고 있다. SSG는 최근 그 페이스가 떨어지는 모습도 있지만, 여전히 1강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투. 타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고 외국인 선수들의 활약도 비교적 준수하다. 후반기 문승원과 박종훈, 두 자릿수 승수가 가능한 선발 투수들의 복귀도 예정되어 있다. 이런 SSG를 추격하는 팀들은 혼전 양상이다. 잠실 라이벌 LG와 두산이 SSG를 추격하고 있지만, 전력의 약점을 안고 있다. LG는 국내 선발 투수들의 활약이 부족하다. 두산은 마운드가 예상외로 선전하고 있지만, 타선의 생산력에 고민이 있다. LG, 두산과 함께 중위권에 자리한 롯데는 강해진 마운드와 타격 생산력을 앞세워 기대 이상의 경기력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상위권..

뭔가 삐거덕 거리면서도 5할 승률을 유지하고 있는 롯데 자이언츠 마운드에 나균안과 김유영이 새로운 힘이 되고 있다. 나균안은 선발과 불펜을 오가는 스윙맨으로 김유영은 확실한 좌완 불펜 투수로 자리를 잡았다. 두 선수는 그동안 잠재력을 인정받았지만, 기대만큼의 결과를 만들지 못하며 매 시즌 아쉬움을 남겼었다. 나균안은 개명 전 나종덕이라는 이름으로 2017 시즌 신인 드래프트 2차 1순위로 롯데에 입단했고 김유영은 2014 시즌 롯데 1차 지명 신인이었다. 그들에 기대치가 컸다. 하지만 두 선수는 그 무게를 견디지 못했고 기량이 발전하지 못했다. 나균안은 입다 당시 강민호를 이어갈 대형 포수로 평가됐지만, 타격 능력 향상을 이루지 못하면서 고전했다. 2018 시즌 강민호의 FA 이적과 함께 주전 도약의 쉽..

SSG 랜더스의 초반 기세가 무섭다. SSG는 4월 13일 LG와의 원정 경기에서 승리하며 개막 10연승의 대기록을 달성했다. 개막 10연승은 2003 시즌 삼성이 가지고 있었던 기록으로 SSG는 동률을 이루게 됐다. 4월 14일 경기마저 승리한다면 SSG는 프로야구의 역사를 새롭게 할 수 있다. 신기록 달성 여부를 떠나 SSG의 초반 페이스는 놀라움 그 자체다. SSG를 올 시즌 상위권 후보로 꼽는 이들은 많았지만, 우승 후보 여부에 있어서는 의문부호가 있었다. 시즌 개막을 앞두고 메이저리그 도전에 나섰던 에이스 김광현이 전격 복귀하긴 했지만, 그것만으로 그들을 우승후보 반열에 올려 놓기는 어려웠다. SSG는 오프시즌 기간 선발 투수 박종훈, 문승원, 중심 타자 한유섬과 5년간의 장기 계약을 하며 프로..

이제 8경기를 치렀지만, 확실한 2강이 프로야구 순위 경쟁을 이끌고 있다. 개막 8연승의 SSG와 그 뒤를 바싹 추격하는 7승 1패의 LG가 순위 경쟁에서 한 걸음 앞서가고 있기 때문이다. 두 팀은 10개 구단 중 투. 타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고 안정된 경기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 결과는 성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SSG의 초반 질주는 무섭다. 개막전에서 선발 투수 폰트의 비공인 9이닝 퍼펙트 투구에 이어 연장 10회 팀 노히트 승리로 기세를 올린 SSG는 이후 패배를 모르는 질주를 지속하고 있다. SSG의 기세에 지난 시즌 챔피언 KT도 3연전 시리즈를 모두 내줬고 올 시즌을 앞두고 전력을 크게 보강한 KIA도 3연전 시리즈를 스윕 당했다. 개막 2연전에서 만난 NC도 팀 노히트 패배의 수모와 함께 S..

지금부터 40년 전은 1982년 3월 27일 오늘은 우리나라의 프로야구가 처음 시작한 날이다. 프로야구는 우리나라 프로스포츠의 시작이었고 프로야구를 기점으로 프로씨름, 프로축구, 프로농구와 배구 등 여러 종목들의 프로화가 이루어졌다. 이후 우리나라 스포츠는 아마추어에서 프로로 추가 넘어갔다. 그 과정에서 프로야구는 최고 인기 스포츠로 자리했고 지금도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프로야구는 1970년대 대중들의 큰 인기를 끌었다. 고교야구의 흥행 요소를 그대로 가져왔다. 각 지역별도 연고 구단이 생겼다. 1960년 이후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지방에서 서울로 대거 몰려들었다. 그들에게 각 지역을 대표하는 고교야구팀은 자신의 팀이었다. 지방에 연고를 둔 사람들은 서울에서..

프로야구 10개 구단이 시즌 준비를 위한 스프링 캠프가 한창이 시점에 리그를 총괄하는 총재가 전격 사임을 발표했다. KBO 정지택 총재는 일신상의 이유로 사퇴를 발표하며 프로야구가 큰 위기에 있고 리그의 개혁을 주도할 새 인물이 총재 자리에 올라야 한다는 의견을 내며 물러났다. 그는 3년 임기의 KBO 리그 총재 자리를 1년여 만에 내려놓은 단명 총재가 됐다. 새로운 인사의 필요성을 역설한 정지택 총재였지만, 그 역시 지난해 총재 자리에 올랐을 때 리그의 변화와 재도약이라는 큰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그는 코로나19의 철저한 대응, 경기력 향상과 도쿄 올림픽의 선전, 고질적인 과제인 리그의 수익성과 마케팅 역량 강화와 함께 혁신적인 시도로 리그의 콘텐츠로서의 가치 향상 등을 공약했다. 하지만 그 어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