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728x170

1948년 10월, 대한민국의 여수지역을 중심으로 군인들의 반란이 일어났다. 그들은 제주 4.3사건이 일어나고 이를 진압하기 위해 준비 중이었던 군인들이었다. 이들은 정부의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이후 여수, 순천, 구례까지 정부군과 반란군의 치열한 교전이 일어났다. 

이는 대규모 유혈사태를 불러왔다. 한때 여순 반란 사건으로 불리기도 했던 이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군사 반란 사건이었고 이후 대한민국이 반공을 국시로 하는 국가가 되는 현대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사건이었다. 역사저널 그날 261회에서는 이 여순사건의 배경과 진행 상황, 시사점을 다뤘다. 

여순사건의 직접적인 원인은 제주 4.3사건에 있었다. 1948년 남한만의 총선과 단독 정부 수립이 확정된 상황에서 이에 반대하는 여론이 여전히 존재했다. 남한 지역의 좌익 세력들은 남로당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저항운동을 전개했다. 좌익 정치세력을 용인했던 미 군정은 이에 강경 대응했고 그럴수록 저항을 더 강해졌다. 

 

 

 

 



특히, 제주에서는 이런 움직임이 무장투쟁으로 전개됐다. 이에 제주지역에서는 총선거가 제대로 치러질 수 없었다. 이후 수립된 정부와 미군은 제주지역의 좌익 세력에 대한 소탕작전을 강하게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무고한 제주도민들이 다수 희생됐다. 지금도 그 숫자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인명 피해가 상당했다. 하지만 연좌제가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에서 피해자들은 누구도 그 사실을 남에게 알릴 수 없는 분위기였고 제주는 상당 기간 좌익세력의 섬으로 인식되었고 숨죽이는 삶을 살아야 했다. 

이런 제주 4.3사건을 일으킨 좌익 세력 소탕을 위해 정부는 군대를 증편했다. 여수 지역을 중심을 증편된 군대는 제주지역으로 이동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중 좌익 계열의 군인들을 중심으로 이를 거부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들은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 반대, 남북통일 등을 주장하며 정부에 반기를 들었다. 정부는 경찰병력으로 이들과 맞섰지만, 반란군을 당해낼 수 없었다. 당시 반란군은 경찰과 대립각을 세우며 군인들을 더 결집했다. 

이런 경찰과 군의 대립에는 배경이 있었다. 당시 경찰 조직은 일제와 협력했던 친일 경찰들이 주요 요직에 있었다. 국민적 지지를 얻기 어려웠다. 하지만 군대는 정부 수립 이후 급하게 조직된 탓에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모였다. 그 안에는 일본 육사 출신의 친일세력, 광복군과 중국군에 속해있었던 세력, 심지어 좌익 계열의 사람들까지 구성이 다양했다. 군대 조직을 주도한 미군 역시 사상적 검증에는 엄격하지 않았다. 따라서 군대 내에 다양한 목소리가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 중 좌익계열 군인들은 제주로의 파견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이런 반란군에 대해 북한 개입설과 심지어 남한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해는 김구의 배후설 등이 떠돌기도 했지만, 이에 대한 증거는 없었다. 프로그램에서도 반란은 우발적 사건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시작된 군사 반란은 이후 주변지역까지 점령하며 그 세력을 넓혀갔다. 이들은 지역의 우익 인사들과 경찰, 지주들을 살해하는 등 과격한 양상을 보였다. 이들은 인공기를 휘날리며 반정부적 성격을 분명히 했다. 이런 좌익 세력이 중심이 된 이 군사 반란은 이제 첫걸음을 뗀 이승만 정부에게는 큰 위협이었다. 이는 미국에도 마찬가지였다. 남한의 정부 수립 후 철수하려 했던 미군은 이후 상당 기간 머물러야 했다. 

또한, 당시 대한민국은  나라의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이었고 군대 역시 초창기 형태였다. 통합적인 군사작전 역량도 없었다. 무엇보다 반공을 중심으로 하는 이승만 정부에서 좌익세력의 위협은 정권을 흔드는 사건이었다. 이에 이승만 정부는 해당 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했고 미군과 함께 조기에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군사적 역량을 모두 동원했다. 결국, 준비 안된 반란은 얼마 되지 않아 진압되었다. 이후  반란군 중 일부는 지리산으로 숨어들어 게릴라전을 전개하며 지속 저항했다. 이는 사회적 불안 요인이었다. 실제 지리산 인근의 주민들은 낮에는 정부군의 좌익세력 색출 과정에서 희생자가 나오고 밤에는 반란군에 의해 희생자가 발생하는 불안한 나날을 보내야 했다. 상당수 마을은 소개되어 삶의 터전을 잃기도 했다. 

이승만 정부는 반란을 진압한 이후 대대적인 좌익세력 색출작업을 시작했다. 반란 세력을 제거하는 하는 건 당연한 일이었지만, 이 과정에서 이승만 정부는 김구의 배후설을 흘리는 든 정적들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이를 악용했다. 또한, 광기 가득한 분위기 속에서 반란군과 상관없는 일반 국민들까지 다수 희생됐다. 

그 수는 정확하지 않지만, 1만 명을 넘는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 희생자였음을 밝히며 공산세력으로 인식되어 엄청난 고통을 겪어야 하는 당시 분위기를 고려하면 알려지지 않은 희생자들도 다수 존재한다 할 수 있었다. 당시 정부는 즉결 처분을 강행하여 상당수 희생자들은 제대로 된 재판이나 사법적 구조를 받지 못한 채 처형되는 일이 빈번했다. 당시 사진과 기록물에서는 당시의 참혹했던 기억들이 그대로 담겨 있었다. 

이런 숙청의 폭풍은 군대 내에서의 좌익세력 숙청으로 이어졌다. 좌익계열의 군인들 역시 상당수가 체포되고 즉결 처분 형식으로 체포 후 하루 안에 처형되는 참혹한 장면이 계속 이어졌다. 당시 정부로서는 남북 분단이 현실화 되고 적대적 관계가 형성된 상황에서 적에게 동조할 수 있는 세력이 군내에 존재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이는 분명 명분이 있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인권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인위적인 판단에 의해 죄가 가려지고 처형되는 장면 장면들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생기면 안 되는 일이었다. 

이렇게 여순사건은 남한 사회를 반공이라는 중요한 사상적 흐름이 고착화되는 계기가 됐다. 이를 통해 국가보안법이 재정되어 사상적 통제를 더 강하게 하기 시작했다. 어느새 정치사상의 지향점은 선악을 구분하는 요소가 됐다. 이는 정적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탄압하는 잘못된 정치풍토의 시발점이 됐다. 지금도 진보적 정치가들을 좌파 빨갱이 프레임을 씌워 매도하는 행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이에 동조하는 정치세력이 큰 입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당시 여순사건 이후 좌익 군인 숙청 과정에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박정희 전 대통력이 연루되었다는 사실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소령으로  군내 남한 남로당의 중요 인사였고 체포후 사형을 선고받기까지 했다. 하지만 그는 수사 과정에서 군내 좌익 세력들에 대한 정보를 모두 알리며 수사에 협조했고 이를 인정받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어 숙청의 광풍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후 그는 6.25 전쟁 발발의 비극적 역사 속에서 군에 복귀했고 장군으로 진급하였고 5.16 쿠데타로 정권을 손에 넣었다. 이후 박정희 전 대통령은 모두가 알고 있듯 철권통치로 독재의 길로 접어들었고 반대 정치세력에 대한 무자비한 탄압을 했다. 그 과정에서 반정부 세력에 대해 공산주의자의 누명을 씌우는 등의 공작을 통해 반공을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삼았다. 이는 역사적인 아이러니라 할 수 있다. 

여순사건의 시작은 명백한 군사 반란에 있다. 이는 나라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고 그에 상응하는 처벌을 받는 건 당연했다. 하지만 다수의 무고한 희생이 이어지면서 비극의 역사를 만들고 말았다. 전시에도 국민의 인권은 존중되어야 했지만, 정치적 이해 등으로 인하여 그 인권은 철저히 무시됐다. 이런 희생을 바탕으로 이승만 정권은 그들의 정치적 입지를 더 단단히 할 수 있었지만, 당시 피해자들은 자신은 물론 그 후대까지 자신의 피해에 대해 말하지 못하고 고통을 시간을 보내야 했다. 

아시아에서 보기 드문 모범적인 민주주의 국가로 발전한 대한민국이라면 이제는 과거 잘못된 국가 공권력으로 인한 희생에 대해 보다 면밀한 평가가 진실규명, 이에 대한 보상과 명예 회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주 4.3 사건의 피해자에 대한 국가적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 여순사건 역시 그 언급조차 금기시되는 그들만의 비극으로만 남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여순사건을 재조명한 역사저널 그날 261회는 의미가 있었다. 

사진 : 프로그램 홈페이지, 글 : jihuni74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