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은 슬픔을 안겨주고 2022년 가을이 저물어 가고 있다. 10월의 마지막 토요일 일어난 말도 안 되는 참사가 아픈 기억을 안겨주었기 때문이다. 그 속에서도 계절과 시간은 무심히 내일 그리고 또 다른 내일을 위해 흘러가고 있다. 사람들은 그 흐름 속에 떠 다른 시간을 맞이하고 준비한다. 늦가을 밤, 청계천을 따라 걸으려 그 모습을 사진으로 담았다. 그 발걸음은 광화문 광장까지 이어졌다. DDP 작품 흐름 걸어보다 깊어가는 밤 터널 광장으로 청계천의 끝 이순신, 세종대왕 광화문 광장 세종문화회관 이상하게 쓸쓸한 감정이 밀려들어왔다. 가을이 저물어 간다는 아쉬움 탓이었을지 인적 드문 길을 걸으면서 느끼는 쓸쓸함 때문이었을지, 쌀쌀해지는 날씨 때문이었을지 담긴 장면들의 조명이 화사하거나 화려..

늦가을이라는 말이 이상하게 느껴지는 요즘입니다. 이상기후가 이제는 이상하지 않은 요즘이지만, 계절은 가을에서 겨울로 그 배턴을 넘겨주고 있습니다. 도시의 풍경도 겨울의 빛과 색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연말연시의 느낌을 곳곳에서 함께 할 수 있습니다. 도시의 빛은 그 끝을 향해 가는 2021년이 보다 편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려는지 더 빛나고 있습니다. 그런 도시의 빛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기회가 있어 그 모습을 담았습니다. 서울 스카이 전망대에 갈 일이 있어 장면을 사진을 담을 수 있었습니다. 어두운 환경에 만족할만한 퀄리티를 얻지는 못했지만, 쉽게 접할 수 없는 풍경을 사진의 목록에 채울 수 있어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한강을 바라보며 올림픽 대교 반포대교 그리고 놀이공원 퇴근길 타워, 연말연시 ..

가을이 마지막 빛을 발하고 있는 11월의 어느 날 서울 도심의 국립현대미술관을 찾았습니다. 본래는 내부 전시작품 관람이 주목적이었지만, 박물관 주변의 마침 시간이 저녁을 앞두고 있어 저물어가는 가을 햇살과 저녁 무렵의 달라진 장면들을 담을 수 있었습니다. 콘크리트 건물로 가득한 도심 속에서 자연의 변화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장면과 함께 할 수 있어 특별했던 하루였습니다. 그 모습들을 가져와 봅니다. 길 건너편의 가을 풍경 노란빛의 낙엽과 푸른 하늘 한옥, 그림자 짙어지는 가을색 어둠속으로 접어드는 풍경 통로 어둠이 내려앉은 거리 1~2시간 정도였지만, 극적인 변화가 함께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그 변화를 한 번에 담을 수 있어 의미 있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가을은 점점 그 절정을 지나 마지막으로 향..
도심 한가운데 고가 도로를 보행로로 공원으로 바꾼다는 발상 자체가 무척이나 혁신적이지만, 그 탄생 때부터 논란이 많았던 서울로 7017입니다. 많은 차량이 이동하는 고가 도로를 없앤다는 건 상당한 교통 체증을 불러올 수 있는 일이었고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상당했습니다. 전시행정이라는 비난도 있었습니다. 보행로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란도 있었습니다.지금 서울로 7017은 서울의 명소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쉼터가 부족하다는 아쉬움도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걷는 길이 되었고 주변의 상권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서울로 7017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행사도 함께 열리면서 도시 재생의 새로운 모델이 되었습니다. 저도 서울 도심에 가면 이 길을 걷곤 합니다. 사람들이 마음껏 도심에서 걸을..
거리를 걷다가 만난 노점상, 그 모습들을 모아보았습니다.노점상이 통행을 막고 불편함을 준다는 이들도 있고어떤 기업형 노점상은 막대한 이익을 취하면서 세금도 잘 안 낸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실제 일부 노점상 연합은 과도한 자릿세를 요구하는 등일종의 이익단체가 된 곳도 있습니다. 사람 사는 세상에 이런 사람 저런 사람들이 있는 건당연하겠죠. 하지만 그 사람들의 잘못을 노점을하는 모든 이들의 잘못으로 일반화 하는 것도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제가 바라본 노점상의 모습을 열심히 살아가는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었습니다.획일화된 도시에서 노점상은 다름으로 또 다른 도시 풍경을 만들어주고 있습니다.도시속 노점상이 좋은 방향으로 공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먹거리 빛 반짝반짝 역동성 이런 다양함을 유쾌하게 즐길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