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진왜란의 큰 전란 속에 나라를 구한 영웅 이순신을 주인공으로 한 세 편의 영화 시리즈가 세 번째 작품 노량의 개봉과 함께 마지막을 향해가고 있다. 다만, 세 번째 작품 '노량 죽음의 바다'는 한국 영화 최다 관객 기록을 가지고 있는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 '명량'과 두 번째 작품 '한산'과 비교해 흥행에서는 다소 부족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작품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는 목소리도 있다. 전투 장면이 지나치게 비장하고 거북선이 적선에 파괴되는 모습은 작위적이라는 비판도 있다. 전투신은 분명 이전 이순신 시리즈보다 발전되고 완성도를 더했지만, 몇 가지 부분으로 그 노력들이 가져지는 느낌도 있다. 한편에서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반일 선동 영화라고 한다든지 영화 속 이순신 장군이 마치 부하들..

최근 10여 년간 한국 영화의 흥행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름은 이순신이었다. 이순신은 임진왜란 당시 수군을 이끌고 무패의 신화를 남긴 영웅이기도 했고 그 삶 자체가 너무나 극적이었다. 긴 세월이 흘렀지만, 이순신은 가장 존경받는 역사 인물로 남아있고 그를 소재로 한 드라마, 영화는 여전히 대중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 이순신을 소재로 한 3부작 영화의 마지막 편인 '노량' 지난해 연말 상영을 시작했고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3부작 시리즈의 시작이었던 영화 '명량'은 아직 깨지지 않은 한국 영화 역사상 가장 많은 1761만 6141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2014년 7월 개봉한 영화 '명량'은 개봉 당시 인지도 높은 배우들이 대거 주연과 조연으로 캐스팅되며 관심을 모았다. 당시 영화 평론가들은 ..

조선 시대, 우리 민족은 두 차례 큰 전란을 겪었다. 1592년부터 1598년에 거쳐 일본의 침략으로 일어난 임진왜란, 1636년 청나라의 침략으로 일어난 병자호란이 있다. 두 전란은 조선에 큰 상처를 남겼다. 특히, 임진왜란은 병자호란과 달리 전 국토가 전장이었고 엄청난 인적 물적 피해가 있었다. 그 영향은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을 전기와 후기로 나눌 정도다. 그만큼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의 사회는 큰 변화를 겪었다. 다만, 그 변화는 전란을 통해 교훈을 얻고 나라를 발전시키는 방향이 아닌 기득권 세력의 지배 체제를 공고히 하는 쪽으로 왜곡되어 전개됐다. 그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별이 더 극심해졌다. 지배층의 수구화는 조선 후기 사회, 경제적은 변화의 흐름을 역행하는 일이었고 서양의 동양 침탈이..
남해군은 멋진 풍경으로 알려진 곳입니다. 온화한 기후에 근거한 농산물과 풍부한 어족 자원도 남해군의 자랑입니다. 이런 남해에서 오랜 역사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이 있었습니다. 사적 제232호인 이충무공전몰유허와 유배문학관이 그곳입니다. 다른 지방의 유적과 달리 현대적인 시설과 지역의 특색이 잘 드러난 곳이었습니다. 제가 잘 몰랐던 역사적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남해의 작은 포구입니다. 지금은 그 존재감마저 미약한 곳이지만 그 옛날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해전이 있었던 곳이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그 삶을 다한 노량해전은 남해 앞다에서 펼쳐졌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본국으로 돌아가는 왜군들을 단 한명도 허락하지 않았고 죽음을 불사한 일전을 벌였습니다. 그는 선봉에 서서 격전을 ..
해남의 여러 명소중 진도대교가 있습니다. 해남과 진도를 연결하는 진도대교는 그 아래 물살이 거칠기로 이름난 울돌목이 있습니다. 서해와 남해가 만나는 곳으로 거대한 바다가 만나 큰 물살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또 한 곳의 명소, 전라 우수영 관광지가 있습니다. 농림수산식품부 해남팸투어 첫 방문지로 이곳을 찾았습니다. 이 곳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 기지가 있었던 곳입니다. 조선 수군의 대승이 있었던 명량해전의 격전장이기도 하고요. 당사 조선 수군은 3도 수군통제사 이순신이 모함을 받아 백의종군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순신을 대신한 원균이 이끈 조선 수군은 무리한 공격으로 왜군에게 크게 패했고 함선 대부분을 잃고 말았습니다. 남아 있는 조선 수군은 함선은 13척, 다시 수군 통제사로 기용된 이순신은 육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