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천문 프로젝트가 정치적 문제로 좌절된 이후 은둔의 삶을 살았던 장영실이 다시 돌아왔다. 당연히 그를 시기하고 제거하려 했던 대신들의 반발이 거셀 수밖에 없는 일이었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달랐다. 편경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 그의 관직 재 등용에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성리학을 숭상하는 조선에 있어 아악은 성리학적 이념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문제는 아악을 구성하는데 있어 음의 표준이 되는 편경이 음 구현이 정확하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이는 아악의 근본을 흔드는 것으로 조선왕실에는 큰 근심이었다. 각 분야에서 나라의 표준을 만드는 것에 역점을 두고 있었던 세종에도 이는 중요한 문제였다.
세종은 아악의 책임자 박연으로 하여금 정확한 음을 구현하는 편경 제작을 하도록 했지만, 음에 맞게 돌을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는 기술자가 없었다. 장영실은 그 일을 할 수 있는 인물이었다. 박연과 함께 장영실이 제작한 편경은 원하는 음을 구현했다. 이는 장영실이 화려하게 관직에 돌아올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세종은 궁중 연회를 하는 자리에 새롭게 제작한 편경을 소개했고 그 편경을 만든 장영실을 복권을 천명했다. 장영실의 등장은 모두를 경악하게 했지만, 그가 제작한 편경은 그의 복귀를 반대할 명분을 잃게 했다. 이렇게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난 이후 은둔의 삶은 살던 장영실은 다시 그의 꿈을 떨칠 기회를 잡았다.
장영실은 다시 돌아오면서 자신의 능력과 재주를 그 누구도 아닌 백성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데 사용할 것을 다짐했다. 실제 그가 은거하고 있는 지역에서 장영실은 해시계를 비롯해 생활에 유용한 기구들을 제작해 보급하면서 그 지역민들의 삶을 더 윤택해지게 하고 있었다. 이는 그를 찾아온 이천과 명나라 사신으로 조선에 온 주태강까지 이를 인정했다. 장영실은 주변의 응원에 힘을 얻었다. 그리고 한양으로 올라가 자신을 음해하는 세력들을 피하기보다는 당당히 맞서기로 했다. 그는 위험에 굴하지 않고 당당히 자신의 연구를 하기로 했다.
이런 그에게 중요한 프로젝트가 주어졌다. 당시 시간을 알리던 물시계의 고장으로 국가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던 조선은 당장 정확한 시보를 알려줄 새로운 시계가 필요했다. 이를 두고 두 가지 의견이 대립했다. 장희제가 중국의 것을 본따 만든 물시계를 표준시계로 지정하는 것과 이에 반대하는 장영실의 의견이 그것이었다.
장영실은 장희제의 물시계는 완성도가 높긴했지만, 내구성에 문제가 있음을 단점으로 지적했다. 장영실은 새로운 방식의 물시계 제작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장영실과 장희제 두 라이벌 간 또 다른 대결의 시작이었다. 장희제는 물시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온 힘을 다했지만,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장희제는 장영실이 구상한 물시계가 무엇인지 궁금했다. 그는 장영실을 극도로 증오하는 김학주를 사주해 장영실의 비밀 작업장을 알아내도록 했다. 하지만 이미 김학주는 장영실은 물론, 그의 물시계를 없애라는 명령을 받은 상황이었다. 장영실에게 물시계 제작은 또 다시 목숨을 걸어야 하는 일이었다.
하지만 장영실은 호락하지 않았다. 장영실은 보완을 철저히 유지했고 또 한 편으로는 대범함을 보였다. 장영실은 장희제의 측근에 자신의 작업장을 보여주며 그간의 연구성과를 공개했다. 장영실의 물시계는 물의 힘으로 동력을 얻는 건 이전 물시계와 같았지만, 낙하 운동을 이용해 시간을 알리는 기능을 추가했다. 획기적인 방식이었다. 장영실은 그가 만든 물시계의 마지막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이들의 지혜가 필요함을 설명했다. 그는 장희제가 자신을 미워하고 있지만, 격물 연구에 대한 열정은 여전함을 알고 있었다. 그는 장희제가 자신과 함께 더 나은 물시계를 만드는 것에 함께 하기를 기대했다.
이런 장영실의 마음은 장희제의 마음을 움직였다. 장희제는 장영실에 대한 열등감을 접고 아무도 없는 밤 장영실의 비밀 작업장을 향했다. 그곳에서 장희제는 장영실의 만든 물시계의 모습과 작동원리에 감탄했다. 하지만 장희제의 방문은 장영실의 작업장을 위태롭게 하는 일이었다. 장영실의 비밀 작업장이 그를 음해하려는 이들에게 알려질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미 장영실과 앙숙이었던 김학주는 장희제의 동선을 따라 그 곳으로 향하는 상황이었다. 장영실에게는 또 한 번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었다.
이전 조선의 비밀 천문대처럼 장영실이 만든 새로운 물시계가 그 빛을 보기도 전에 타의에 의해 사라지게 될지 큰 고비를 넘기고 조선의 표준시계로 자리하게 될지 그 마지막 고비에서 장희제의 선택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 글 : 심종열
'문화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시그널] 정의롭지 못한 현실 속, 포기할 수 없는 희망 찾기 (2) | 2016.03.13 |
---|---|
[장영실 18, 19회] 격물 연구 운명을 건 승부수가 던져지다. (2) | 2016.03.07 |
[장영실 14, 15회] 절망의 끝에서 다시 찾은 희망의 빛 (1) | 2016.02.22 |
[장영실 12, 13회] 외부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흔들리는 천문연구 (0) | 2016.02.15 |
[장영실 11회] 조선만의 천문 연구 프로젝트 그 시작 (2) | 2016.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