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원의 마지막 고민이었던 후계 구도가 정리됐다. 이방원은 계속된 비행과 왕의로서의 자질 부족 등을 문제를 들어 양녕대군의 폐세자를 결정했다. 그는 대신들과의 논의 과정을 거쳤지만, 폐세자의 명분을 얻기 위한 과정에 불가했다. 이방원의 마음속에서 세자는 이미 지워졌고 그 자리는 충녕대군이 대신했다. 충녕대군 역시 왕위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결국, 양녕대군은 세자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는 마지막까지 세자 자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지만, 이미 자신에게서 마음이 떠난 아버지 이방원을 뜻을 알고 더는 버틸 수 없었다. 남은 건 그의 거취 문제였다. 권력투쟁에서 밀려난 왕족의 운명을 대부분 죽음으로 귀결됐다. 양녕대군의 존재는 이방원을 물론이고 충녕대군에게도 부담이 될 수 있었다. 이미 이방원은 왕..
이방원에게 수성을 위한 길에서 중요한 문제가 등장했다. 여전히 경계를 늦추지 못하고 있는 중전 민씨 집안에 대한 처리와 후계자 결정에 관한 일이었다. 이방원은 치열한 권력 투쟁과 잔혹한 숙청 등을 통해 강력한 왕권을 구축했지만, 차기 권력에 대한 걱정을 마음 가득 안고 있었다. 자칫 자신의 구축한 왕 중심으로 중앙집권 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다면 그가 권력을 잡기 위해 흘린 피와 각종 과오에 대한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이었다. 이는 자신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도 연결될 수 있는 일이었다. 이에 그는 매사에 위험 세력의 발생 가능성을 살피고 차기 권력에 방해되는 요소들을 제거하려 했다. 여전히 두 명의 장성한 처남이 있는 민씨 가문은 이방원에게는 큰 부담이었다. 정치적 영향력이 컸던 장인 민제는 병으로 사망하고..
아버지 이성계를 힘으로 굴복시키고 처남 민무구와 민무질을 귀양 보내며 외척인 민씨 가문에 강력한 경고를 보낸 이방원은 왕권 강화를 위해 조금이라도 왕의 권위에 도전하거나 위협이 될 가능성이 있는 인사들의 숙청을 지속했다. 수차례 양위 파동도 왕권 강화를 위한 정치적 목적이 있었다. 자신의 왕위를 단단히 한 이방원은 창업에서 수성으로 통치 방향은 전환했다. 이를 위해서는 후계구도가 확실히 자리를 잡아야 했다. 이방원은 왕권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적장자 상속 원칙을 지키려 했다. 이를 위해 장남 양녕대군을 세자로 책봉하고 그가 제왕의 면모를 갖추길 기대했다. 하지만 아들 양녕대군은 아버지 이방원의 기대와 달랐다. 이방원의 수성의 시대에 맞게 자신의 후계자는 무보다는 문을 숭상하고 학식과 교양을 갖춘 신하들..
2차례 왕자의 난을 거치며 세자 그리고 왕위에 오른 이방원, 하지만 그는 왕위에 오르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었다. 권력 장악의 과정을 거치면서 이방원은 아버지와 형제들들과 치열한 권력 투쟁 과정을 거치며 그들을 정적으로 돌렸다. 왕이 된 이후에는 그와 함께 했던 공신들과 가장 큰 공이 있었던 중전 민씨의 가문도 경계했다. 이방원은 국왕 중심의 강력한 왕권, 그 바탕 위에 둔 중앙 집권 체제를 구현하려 했다. 이는 왕의 권력 독점을 의미했고 권력의 분점과는 거리가 있었다. 특히, 이방원의 권력 장악에 있어 정치적 동반자였던 민씨 가문의 생각과는 크게 다른 일이었다. 민씨 가문은 이미 이방원의 아들이 왕위를 이어받는 상황에서 차기 권력에서도 중심 세력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방원의 강력한 왕권 아래에서 ..
1, 2차 왕자의 난을 통해 권력을 장악한 이방원은 그의 의도대로 왕위로 가는 과정을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조선의 개국 공신인 정도전이 살해됐다. 이에 더해 이방원은 신덕왕후 강씨의 아들들을 모두 살해했다. 아버지 이방원을 권력에서 밀어내며 그를 궁궐에 사실상 유폐시켜다. 왕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던 넷째 형 방간을 굴복시키며 그를 유배길에 오르게 했다. 한때 그와 대립하던 둘째 형 방과 역시 이방원에 대한 복수를 원하는 이성계의 기대를 저버리고 이방원의 왕위 계승에 협조했다. 이방원은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로 왕위에 오르지 않고 방과, 정종의 세자가 되고 그의 양위를 받는 과정을 거쳤다. 그가 왕자의 난을 일으킨 중요한 명분인 장자 상속의 원칙을 지키는 모양새를 만들었다. 이로써 이방원은 조선..
1차 왕자의 난이 성공하면서 이방원은 조선 국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당장 그가 왕위에 올라도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 됐다. 창업 군주 이성계는 이방원에 의해 사실상 궁궐에 유폐된 상황이고 이성계에 이어 왕위에 오른 둘째 형 방과 역시 실권 없는 말뿐인 왕이었다. 국정 현안과 인사 등 모든 일이 이방원에 의해 결정됐다. 이방원은 왕위에 오르는 걸 서두르지 않았다. 왕위를 찬탈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는 걸 그는 두려워했다. 이방원은 둘째 형 방과를 세자로 세운 후 그의 양보를 얻어 왕위에 오르려 했다. 방과는 이런 이방원의 의도를 알고 있었지만, 가족 간 그리고 부자간 분란을 막기 위해 이성계와 이방원 사이 디딤돌이 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권좌에서 물러난 이성계는 이런 이방원을 용서할 수 없었다. 이성계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