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728x170

 

1차 왕자의 난이 성공하면서 이방원은 조선 국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당장 그가 왕위에 올라도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 됐다. 창업 군주 이성계는 이방원에 의해 사실상 궁궐에 유폐된 상황이고 이성계에 이어 왕위에 오른 둘째 형 방과 역시 실권 없는 말뿐인 왕이었다. 국정 현안과 인사 등 모든 일이 이방원에 의해 결정됐다.

이방원은 왕위에 오르는 걸 서두르지 않았다. 왕위를 찬탈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는 걸 그는 두려워했다. 이방원은 둘째 형 방과를 세자로 세운 후 그의 양보를 얻어 왕위에 오르려 했다. 방과는 이런 이방원의 의도를 알고 있었지만, 가족 간 그리고 부자간 분란을 막기 위해 이성계와 이방원 사이 디딤돌이 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권좌에서 물러난 이성계는 이런 이방원을 용서할 수 없었다.

이성계는 이방원의 의도와 달리 방과에서 전격적으로 왕위를 양위했고 그의 아들 중 한 명을 원자로 책봉토록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부자간의 또 다른 정치 대결의 시작이었다. 드라마에서는 나오지 않았지만, 이 기간 조선은 한양에서 다시 개경으로 수도를 환도했다. 제2대 왕 정종 때 일이지만, 그 결정의 배경에는 이성계가 있었다. 이성계는 비록 권력에서 멀어졌지만, 창업 군조로서의 권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국정에서 그의 목소리를 완전히 무시하기 어려웠다. 이방원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성계는 한양 천도를 즉위 초기부터 강력히 추진했고 천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이런 한양을 버리고 개경으로 환도한다는 건 큰 결심이라 할 수 있었다. 이성계는 그의 어른 아들들이 살해당하는 비극의 현장을 벗어나고 싶기도 했겠지만, 환도를 통해  이방원을 견제하고자 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성계는 아직 권력에 대한 의지를 버리지 않았다. 

 

 


하지만 이 대결은 얼마 안 가 이방원으로 힘의 추가 급격히 기울어졌다. 국정 전 분야에 실권을 가지고 있는 이방원을 상대로 왕의 권위로서 대항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방과 역시 왕위에 오른 직후 의욕을 보이긴 했지만, 이내 현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상황에서 발생한 2차 왕자의 난은 이방원의 권력을 더 공고히 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왕위에 대한 큰 의지를 가지고 있는 이성계의 넷째 아들 방간은 군사를 일으켜 이방원을 공격했다. 하지만 압도적인 힘을 가지고 있는 이방원의 군사들에게 쉽게 제압당하고 말았다. 방간은 치밀하지 못했고 우호 세력을 규합하지도 못했다. 방간으로서는 이방원과 대립하고 있는 이성계와 함께 일을 도모하거나 왕위에 있는 방과와 사전 교감을 하는 등의 전략이 필요했지만, 그렇지 못했다.

이방원은 가볍게 방간을 제압했고 형제간의 왕위 경쟁에서도 더 이상의 도전 가능성을 차단했다. 방과, 정종 역시 이방원에게 국정 운영을 맡기도 일선에 물러났다. 정종은 이방원의 의도대로 그에게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방원을 세자로 책봉했고 선위를 준비했다. 역사적으로도 정종은 왕위에 오른 후 국정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격구 등 운동을 즐기며 살았다고 전해진다. 

이제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는 일만 남은 것처럼 보였지만, 또 다른 권력 투쟁이 기다리고 있었다. 이방원은 가장 높은 자리에 오르자 또 다른 세상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의 마음속에는 그와 뜻을 함께 한 동지들과 공신들이 언제든 그에게 위협이 될 수 있음을 인지했다. 지금은 그에게 충성을 다하는 측근들이지만, 정치적 상황에 따라 언제든 그에게 등을 돌릴 수 있고 적이 될 수 있음을 그는 경험으로 체득했다.

특히,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사병은 시한폭탄과 같았다. 측근들은 각 도의 절제사로 임명되고 그들의 직할 부대를 가지고 있었다. 당장은 이방원의 군대라 할 수 있지만, 충성의 대상은 나라가 아닌 그들의 주인이었다. 이방원은 정도전과 이성계가 기획한 사병 혁파에 대한 반대를 1차 왕자의 난을 일으키는 데 있어 중요한 이유로 내세웠다. 막상 권력을 장악한 그에게 사병의 존재가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방원은 군권을 모두 왕에게 귀속하려 했다. 왕권 강화를 위해 필요한 일이기도 했다. 이제 사병 혁파는 이방원에게 중요한 과제가 됐다. 

하지만, 이방원의 의도는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우선, 그의 가장 든든한 후원자라 할 수 있다. 그의 부인 민씨 가문의 반대가 강했다. 사병 혁파와 관련해 민씨 가문은 향후 급변 상황의 대비를 위해 사병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그보다는 힘의 근원인 사병을 잃는다는 건 정치적 영향력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일이기도 했기 때문이었다. 

민씨 가문은 이방원이 권력을 장악하는 데 있어 큰 힘이 됐다. 그들은 그 권력에서 상당한 지분이 있음을 주장했다. 이방원에 대해 무한한 응원과 도움을 아끼지 않았던 훗날 원경왕후가 되는 민씨 역시 이방원의 사병 혁파와 관련해 분명한 반대 의사를 보였다. 민씨는 노골적으로 권력에 대한 야망을 드러냈다. 이방원이 마음속에 가지고 있었던 왕 중심의 지배체제에 반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방원으로서는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는 아버지 이성계와의 갈등에 더해 측근 세력들의 권력욕을 억제해야 하는 어려움이 더해졌다. 이방원은 조선의 국정을 장악했지만, 측근 세력들의 도움과 그 힘을 무시할 수 없다. 이성계의 영향력이 미치는 동북면 등 국경지역의 군사적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서 측근들의 사병이 필요하다. 즉, 측근들의 자극하는 정책을 펼치기 어려운 환경이다. 이방원으로서는 고도의 정치력을 발휘해야 할 시점이 됐다. 

이런 이방원에게 이성계의 군사적 위협이 현실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성계는 궁궐을 벗어나 그의 근거지라 할 수 있는 동북면으로 향했다. 동북면은 대대로 이성계 가문이 지배권을 가지고 있었다. 여전히 이성계의 영향력이 크고 막강한 군대가 있는 곳이다. 조선 역사에서는 비중 있게 다루지 않고 있지만, 이성계는 그곳에서 세력을 규합해 군사를 일으켜 이방원에 대항했다. 조사의의 난으로 불리는 부자간의 내전이 있었다. 

이방원에게는 안팎으로 위기가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그는 내부의 위협을 제어해야 하고 아버지 이성계와의 피할 수 없는 대결을 앞두고 있다. 이방원은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많은 피를 가장 높은 곳으로 가는 재단 위에 뿌렸다. 하지만 그 재단에 더 많은 피가 필요한 상황이 됐다. 이방원은 이런 현실에 괴로워하기도 했지만, 그가 원하는 조선을 만들기 위해 이를 위해 왕이 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희생을 그는 애써 외면했다.

이제 이방원은 그의 앞에 놓은 위협들을 힘으로 제압해야 함을 분명히 인식하고 더 냉정하고 차가운 권력자로 변모해다. 그 대상이 형제라 해도 아버지라 해도 그리고 가장 측근의 부인과 그 처가라 해도 그는 물러설 수 없다. 강력한 왕권을 위해 위협이 되는 세력은 제거해야 하는 게 그의 숙명이 됐다. 이방원에게 아직 피의 대결은 끝나지 않았다. 


사진 : 드라마 홈페이지, 글 : jihuni74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