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수레가 부서지는 사고는 역모죄로 비화했다. 수레 제작을 주도한 장영실은 죽음의 문턱까지 내몰렸다. 모든 정황은 그가 누명을 쓴 것이 분명했지만, 그에 앙심을 품고 있던 사대부들의 탄핵여론은 세종은 강하게 압박했다. 세종과 그를 따르는 일부 사대부들이 장영실의 구명을 위해 고심했지만, 장영실은 스스로 죄를 자복하고 죽음을 택했다. 누구보다 장영실의 진심을 잘 아는 세종은 장영실을 버릴 수 없었다. 장영실은 백성들을 삶을 이롭게 하려는 세종의 정치 철학을 상징하는 어쩌면 그의 분신과도 같은 존재였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문자를 반포하고 격물 진흥 정책을 지속하기 위해 사대부 세력들의 반발을 누그러뜨려야 했다. 이런 세종에 사대부 세력은 장영실이 업적을 담은 역사기록까지 삭제할 것을 요구하며 정치..
세종과 장영실이 주도하는 격물 진흥 정책의 성과는 눈부셨다. 조선은 더는 명나라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인 천문 연구가 가능해졌고 다양한 발명품들은 백성들의 삶을 더 풍요롭 게 하는데 이용됐다. 특히, 시간을 알려주는 시계의 보급은 상공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해주었다. 이는 나라를 부강하게 하고 백성들의 삶을 더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일이기도 했다. 하지만, 조선 격물 연구가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기득권 세력인 양반 사대부들의 반대는 커져만 갔다. 세종을 중심으로 한 열린 사대부 세력들이 격물 진흥 정책을 뒷받침했지만, 대다수 사대부들에게 격물진흥은 체제를 위협하고 자신들의 입지를 흔들게 하는 일로 여겨졌다. 실제 백성들의 삶이 윤택해진다면 이와 비례해 지식의 습득이 보다 쉬워질 수 있고 이는 사대부들이 독점..
자칫 장희제에 의해 불태워질 위기에 처했던 장영실의 새로운 물시계는 마지막 순간 장희제의 양심이 발동하며 극적으로 보존됐다. 장희제는 자신을 몰래 미행해왔던 김학주에 위해를 가하면서까지 물시계를 지켜냈다. 장희제 역시 장영실 물시계의 독창성과 그 기술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격물 진흥이라는 대의를 장희제는 저버릴 수 없었다. 하지만 장희제는 함께 물시계 제작과 천문 연구를 하고자 내민 장영실의 손을 잡지는 않았다. 장희제는 그동안의 연구 결과물을 그대로 두고 칩거에 들어갔다. 위기를 벗어난 장영실의 물시계는 마침내 세종과 대신들에 공개됐다. 그의 혁신적인 기술에 세종은 물론이고 여타 대신들도 찬사를 보냈다. 이는 그동안 격물 연구에 반대하던 대신들도 다르지 않았다. 그들로서도 조선의 표준시간을 알려..
조선 천문 프로젝트가 정치적 문제로 좌절된 이후 은둔의 삶을 살았던 장영실이 다시 돌아왔다. 당연히 그를 시기하고 제거하려 했던 대신들의 반발이 거셀 수밖에 없는 일이었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달랐다. 편경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 그의 관직 재 등용에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성리학을 숭상하는 조선에 있어 아악은 성리학적 이념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문제는 아악을 구성하는데 있어 음의 표준이 되는 편경이 음 구현이 정확하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이는 아악의 근본을 흔드는 것으로 조선왕실에는 큰 근심이었다. 각 분야에서 나라의 표준을 만드는 것에 역점을 두고 있었던 세종에도 이는 중요한 문제였다. 세종은 아악의 책임자 박연으로 하여금 정확한 음을 구현하는 편경 제작을 하도록 했..
세종과 장영실이 주도한 조선 천문 연구가 허무한 끝을 맞이했다. 평소 세종의 과학 진흥정책에 대해 반대하던 일부 사대부 세력들은 조선의 비밀 천문 연구에도 강하게 반발했다. 임금이 그 일을 주도하는 탓에 직접 반대는 못 했지만, 연구를 막기 위해 보이지 않게 움직였다. 이 상황에서 명나라가 조선의 천문연구 사실을 인지하고 있음을 알게 되면서 상황은 더 급하게 돌아갔다. 주변국들의 천문 연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는 명나라에 이 사실이 알려졌다는 건 심각한 외교 문제가 될 수 있었다. 이는 명나라가 조선을 불경죄로 겁박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고 군사적 충돌까지 우려되는 일이었다. 하연은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나라의 안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음을 들어 비밀리에 조선 천문 연구소를 없애려했다. 당연히..
세종의 명에 의해 비밀리에 시작된 천문 연구가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천문 연구소가 만들어졌고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간이 등 관측 기구도 만들어졌다. 또한, 이 연구를 이끌던 장영실은 세종에 의해 면천되어 노비의 굴레를 벗어던질 수 있었다. 세종은 이에 그치지 않고 그에게 관직을 내려 힘을 실어주었다. 노비 신분을 벗어나는 것이 평생의 소원이었던 장영실은 이를 뛰어넘어 양반이 됐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인사였다. 하지만 그의 직책은 천문 연구와는 거리가 멀었다. 천문 연구에 부정적인 이들의 감시를 피하기 위한 조치였다. 장영실과 서운관의 연구자들은 각자의 직책을 수행하며 비밀 연구를 지속했고 명나라 천문 서적에서 예측하지 못한 일식을 예측하는 등 조선만의 역법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이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