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례 왕자의 난을 거치며 세자 그리고 왕위에 오른 이방원, 하지만 그는 왕위에 오르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었다. 권력 장악의 과정을 거치면서 이방원은 아버지와 형제들들과 치열한 권력 투쟁 과정을 거치며 그들을 정적으로 돌렸다. 왕이 된 이후에는 그와 함께 했던 공신들과 가장 큰 공이 있었던 중전 민씨의 가문도 경계했다. 이방원은 국왕 중심의 강력한 왕권, 그 바탕 위에 둔 중앙 집권 체제를 구현하려 했다. 이는 왕의 권력 독점을 의미했고 권력의 분점과는 거리가 있었다. 특히, 이방원의 권력 장악에 있어 정치적 동반자였던 민씨 가문의 생각과는 크게 다른 일이었다. 민씨 가문은 이미 이방원의 아들이 왕위를 이어받는 상황에서 차기 권력에서도 중심 세력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방원의 강력한 왕권 아래에서 ..
1, 2차 왕자의 난을 통해 권력을 장악한 이방원은 그의 의도대로 왕위로 가는 과정을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조선의 개국 공신인 정도전이 살해됐다. 이에 더해 이방원은 신덕왕후 강씨의 아들들을 모두 살해했다. 아버지 이방원을 권력에서 밀어내며 그를 궁궐에 사실상 유폐시켜다. 왕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던 넷째 형 방간을 굴복시키며 그를 유배길에 오르게 했다. 한때 그와 대립하던 둘째 형 방과 역시 이방원에 대한 복수를 원하는 이성계의 기대를 저버리고 이방원의 왕위 계승에 협조했다. 이방원은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로 왕위에 오르지 않고 방과, 정종의 세자가 되고 그의 양위를 받는 과정을 거쳤다. 그가 왕자의 난을 일으킨 중요한 명분인 장자 상속의 원칙을 지키는 모양새를 만들었다. 이로써 이방원은 조선..
1차 왕자의 난이 성공하면서 이방원은 조선 국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당장 그가 왕위에 올라도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 됐다. 창업 군주 이성계는 이방원에 의해 사실상 궁궐에 유폐된 상황이고 이성계에 이어 왕위에 오른 둘째 형 방과 역시 실권 없는 말뿐인 왕이었다. 국정 현안과 인사 등 모든 일이 이방원에 의해 결정됐다. 이방원은 왕위에 오르는 걸 서두르지 않았다. 왕위를 찬탈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는 걸 그는 두려워했다. 이방원은 둘째 형 방과를 세자로 세운 후 그의 양보를 얻어 왕위에 오르려 했다. 방과는 이런 이방원의 의도를 알고 있었지만, 가족 간 그리고 부자간 분란을 막기 위해 이성계와 이방원 사이 디딤돌이 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권좌에서 물러난 이성계는 이런 이방원을 용서할 수 없었다. 이성계는 이..
차기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이방원의 움직임이 본격화 되는 시점에 큰 변수가 발생했다. 이방원의 움직임을 에의 주시하던 정도전이 먼저 움직였다. 정도전은 사병 혁파를 이유로 이방원을 포함해 왕자들에 거느리고 있어 사병들을 중앙군 편제에 포함토록 했다. 정도전의 사병혁파 정책은 이성계의 승인 속에 빠르게 진행됐다. 명분은 요동정벌이었다. 당시 명나라와 불편한 관계에 있었던 조선은 명나라의 무리한 요구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놓고 고심하고 있었다. 기본적으로 명나라에 대한 사대가 중요한 외교정책이었지만, 명나라는 조선에 강한 반감을 보였다. 이에 정도전은 아직 명나라의 세력이 완전히 미치지 않는 요동지역에 대한 정벌을 주장했다. 이를 통해 명나라와 보다 대등한 외교관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그 내면에는 사병혁파에..
이성계의 막내아들 방석이 세자가 조선의 막후 실력자가 된 신덕왕후 강씨는 강. 온 양면 책을 활용하며 위험 세력을 견제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성계의 첫 번째 부인 신의왕후의 소생인 장성한 다섯 아들의 존재는 큰 위협이었다. 이성계도 신덕왕후 강씨에게 힘을 실어줬다. 세자 책봉에서부터 신덕왕후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를 보였던 이성계는 첫 번째 부인 사이에 낳은 다섯 아들을 권력에서 멀어지게 했다. 즉위식은 물론이고 이후에도 아들들과의 만남을 거부했고 조선 건국 공신에도 아들들을 제외했다. 이성계는 아들들을 아버지와 자식이 아닌 왕과 신하의 관계로 설정했다. 신하와의 관계도 정적과도 같이 대했다. 나이 어린 세자에게 아들들은 부담이 될 수 있는 존재였다. 특히, 이성계 가문의 유일한 장원급제자로 문신의 길을..
대하 드라마 태종 이방원이 위화도 회군을 시작으로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 과정을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 1, 2회에서 이성계는 요동정벌군을 이끌고 국경에 이르렀지만, 왕명을 어기고 회군을 결정했다. 명백한 항명이고 반란이었다. 이 순간 이성계의 군대는 역적이 됐다. 이성계는 오랜 세월 전장에서 함께 했던 최영과 적으로 맞서야 했다. 이성계는 회군의 명분으로 백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작은 나라인 고려가 중국의 신흥 통일 국가인 명나라를 상대로 전쟁을 하는건 승산이 없다고 그는 여겼다. 남쪽 해안지역을 호시탐탐 노리는 왜구들의 침략과 전쟁에 부적합한 장마철의 기후조건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이성계는 무의미한 전쟁에 군사들은 희생하는 데 부정적이었다. 고려 최고의 무장으로 신망을 얻고 있고 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