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원과 아버지 이성계의 대결은 내전, 조사의의 난으로 이어졌다. 이성계는 이방원의 왕위를 인정할 수 없었고 그가 사랑했던 신덕왕후와 그의 아들들을 살해한 이방원을 용서할 수 없었다. 이성계는 태상왕의 자리로 밀려나 있었지만, 복수 의지를 버리지 않았다. 이성계는 젊은 시절부터 그의 중요한 정치, 군사적 기반인 동북면 일대에서 군대를 모았고 아들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 여전히 이성계의 권위가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동북면과 그들에 동조하는 서북면의 군사까지 더해진 군대의 기세는 만만치 않았다. 이방원은 중앙군을 파견해 그들을 제압하려 했지만, 백전 백승의 장군이었던 이성계의 지휘를 받는 군사들의 위세는 쉽게 꺽이지 않았다. 비록 왕위에서 물러났지만, 창업 군주로서의 권위는 보이지 않는 힘으로 작용했다. ..
2차례 왕자의 난을 거치며 세자 그리고 왕위에 오른 이방원, 하지만 그는 왕위에 오르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었다. 권력 장악의 과정을 거치면서 이방원은 아버지와 형제들들과 치열한 권력 투쟁 과정을 거치며 그들을 정적으로 돌렸다. 왕이 된 이후에는 그와 함께 했던 공신들과 가장 큰 공이 있었던 중전 민씨의 가문도 경계했다. 이방원은 국왕 중심의 강력한 왕권, 그 바탕 위에 둔 중앙 집권 체제를 구현하려 했다. 이는 왕의 권력 독점을 의미했고 권력의 분점과는 거리가 있었다. 특히, 이방원의 권력 장악에 있어 정치적 동반자였던 민씨 가문의 생각과는 크게 다른 일이었다. 민씨 가문은 이미 이방원의 아들이 왕위를 이어받는 상황에서 차기 권력에서도 중심 세력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방원의 강력한 왕권 아래에서 ..
1, 2차 왕자의 난을 통해 권력을 장악한 이방원은 그의 의도대로 왕위로 가는 과정을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조선의 개국 공신인 정도전이 살해됐다. 이에 더해 이방원은 신덕왕후 강씨의 아들들을 모두 살해했다. 아버지 이방원을 권력에서 밀어내며 그를 궁궐에 사실상 유폐시켜다. 왕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던 넷째 형 방간을 굴복시키며 그를 유배길에 오르게 했다. 한때 그와 대립하던 둘째 형 방과 역시 이방원에 대한 복수를 원하는 이성계의 기대를 저버리고 이방원의 왕위 계승에 협조했다. 이방원은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로 왕위에 오르지 않고 방과, 정종의 세자가 되고 그의 양위를 받는 과정을 거쳤다. 그가 왕자의 난을 일으킨 중요한 명분인 장자 상속의 원칙을 지키는 모양새를 만들었다. 이로써 이방원은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