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례 왕자의 난을 거치며 세자 그리고 왕위에 오른 이방원, 하지만 그는 왕위에 오르는 것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었다. 권력 장악의 과정을 거치면서 이방원은 아버지와 형제들들과 치열한 권력 투쟁 과정을 거치며 그들을 정적으로 돌렸다. 왕이 된 이후에는 그와 함께 했던 공신들과 가장 큰 공이 있었던 중전 민씨의 가문도 경계했다. 이방원은 국왕 중심의 강력한 왕권, 그 바탕 위에 둔 중앙 집권 체제를 구현하려 했다. 이는 왕의 권력 독점을 의미했고 권력의 분점과는 거리가 있었다. 특히, 이방원의 권력 장악에 있어 정치적 동반자였던 민씨 가문의 생각과는 크게 다른 일이었다. 민씨 가문은 이미 이방원의 아들이 왕위를 이어받는 상황에서 차기 권력에서도 중심 세력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방원의 강력한 왕권 아래에서 ..
차기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이방원의 움직임이 본격화 되는 시점에 큰 변수가 발생했다. 이방원의 움직임을 에의 주시하던 정도전이 먼저 움직였다. 정도전은 사병 혁파를 이유로 이방원을 포함해 왕자들에 거느리고 있어 사병들을 중앙군 편제에 포함토록 했다. 정도전의 사병혁파 정책은 이성계의 승인 속에 빠르게 진행됐다. 명분은 요동정벌이었다. 당시 명나라와 불편한 관계에 있었던 조선은 명나라의 무리한 요구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놓고 고심하고 있었다. 기본적으로 명나라에 대한 사대가 중요한 외교정책이었지만, 명나라는 조선에 강한 반감을 보였다. 이에 정도전은 아직 명나라의 세력이 완전히 미치지 않는 요동지역에 대한 정벌을 주장했다. 이를 통해 명나라와 보다 대등한 외교관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그 내면에는 사병혁파에..
대하 드라마 태종 이방원이 위화도 회군을 시작으로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 과정을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 1, 2회에서 이성계는 요동정벌군을 이끌고 국경에 이르렀지만, 왕명을 어기고 회군을 결정했다. 명백한 항명이고 반란이었다. 이 순간 이성계의 군대는 역적이 됐다. 이성계는 오랜 세월 전장에서 함께 했던 최영과 적으로 맞서야 했다. 이성계는 회군의 명분으로 백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작은 나라인 고려가 중국의 신흥 통일 국가인 명나라를 상대로 전쟁을 하는건 승산이 없다고 그는 여겼다. 남쪽 해안지역을 호시탐탐 노리는 왜구들의 침략과 전쟁에 부적합한 장마철의 기후조건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이성계는 무의미한 전쟁에 군사들은 희생하는 데 부정적이었다. 고려 최고의 무장으로 신망을 얻고 있고 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