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감독의 대결로 관심을 모았던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4강전 승자는 대한민국이었다.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은 8월 29일 베트남과의 4강전에서 전력의 우위를 보이며 3 : 1로 승리했다. 대표팀은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 이어 2회 연속 축구 결승전에 진출했고 연속 우승에도 도전할 수 있게 됐다. 한국인 박항서 감독 부임 이후 아시아축구에서 돌풍의 팀으로 자리한 베트남은 투지 있게 맞섰지만, 전반 초반 2실점이 부담이 되면서 무패의 돌풍이 끝나고 말았다. 하지만 베트남은 경기 후반 프리킥 득점 이후 마지막까지 온 힘을 다하는 투지를 보이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객관적인 전력은 분명 대한민국의 우세가 예상됐지만, 베트남을 이끄는 박항서 감독의 존재는 대표팀을 긴장하게 하는 요인이었다. 박항서 감독은..
말 그대로 천당과 지옥을 오가고 있는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대표팀이 난적 우즈벡과의 8강전에서 연장 접전 끝에 4 대 3으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대표팀은 8월 27일 경기에서 스트라이커 황의조의 3골, 연장전에 나온 황희찬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힘겹게 승리했다. 대표팀은 8월 29일 수요일, 8강전에서 시리아를 역시 연장전 끝에 1 : 0으로 제압한 베트남과 4강전에서 만나게 됐다. 마침 베트남 감독은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코치로서 4강 신화의 주역이었던 박항서 감독이라는 점에서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남자 축구 4강전은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가장 주목받는 경기가 됐다. 대표팀은 승리하긴 했지만, 경기 내내 긴장을 늦출 수 없었다. 대한민국과 우즈벡 모두 공격에 비해 수비에 약점이 있는 팀이었고 이..
대한민국 월드컵 대표팀이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세계 최강 독일에 승리하며 의미 있는 월드컵 마무리를 했다. 대표팀은 예선 3차전에서 후반 막판 2골을 성공시키며 2 : 0으로 승리했다. 대표팀은 1승 2패를 기록하며 16강 진출의 마지막 불씨를 살렸지만, 16강 진출 티켓은 멕시코, 스웨덴이 가져갔다. 스웨덴은 멕시코를 3 : 0으로 누리며 조 1위로 16강을 확정했고 멕시코는 2승을 먼저 하고도 예선 탈락의 위기에 몰렸지만, 독일의 패배로 16강행을 확정했다. 대한민국에 크게 승리해 16강 진출을 확정하려 했던 독일은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 속에 예선을 통과하지 못했다. 전 대회 우승 팀이 그 다음 대회 부진한 징크스를 독일도 넘지 못한 셈이었다. 애초 독일은 그런 징크스를 넘어설만한 전력으로 평가됐지..
예선 1차전 스웨덴전의 졸전은 아니었다. 선수들의 끝까지 경기에 집중했고 그라운드에서 승리를 위해 뛰었다. 하지만, 세계 1위 독일을 예선 1차전에서 잡은 멕시코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의 투지에 주눅 들지 않았다. 그들은 여유가 있었고 쉽게 허점을 드러내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크게 앞선 골 결정력은 우리에게 아픈 실점 2개를 안겨주었다. 대한민국 국가 대표팀은 손흥민의 막판 골로 1점을 추격했지만, 보이지 않는 격차는 극복하지 못했다. 1 : 2 패배 예선 2패를 떠안은 대표팀은 예선 마지막 독일전에서 말 그대로 실낱같은 희망을 가지고 경기에 임하게 됐다. 국가 대표팀은 독일을 2골 차 이상으로 이기고 멕시코, 스웨덴의 경기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 객관성이라는 평가 기준으로 예상한다면 너무나 힘든 경..
2018년 2월 9일 개막한 평창 동계 올림픽, 그 뒤를 이은 평창 동계 패럴림픽,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열린 동계 스포츠 최대의 이벤트가 3월 18일 평창 동계패럴림픽 폐회식을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개최국이 된 이후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 대회를 준비했고 대회 직전까지 지속된 남. 북의 긴장관계 등으로 성공 개최를 장담할 수 없었던 동계 올림픽이었다. 하지만 극적으로 성사된 북한의 동계올림픽 참가와 그와 동시에 이루어진 남북 대회 모드, 남. 북, 북. 미 정상회담 소식까지 동계 올림픽은 평화 올림픽으로 거듭났다. 매서운 한파만큼이나 차갑기만 하던 동계 올림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고 해외의 반등도 뜨거웠다. 이는 평창 동계 올림픽의 흥행과 연결됐고 패럴림픽까지 이어졌다. 티켓이나 기념품 판..
평창 동계 패럴림픽이 3월 9일 개회식을 열고 개막했다.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 회담으로 이어진 평창 동계 올림픽을 전후로 전개된 남. 북의 화해모드 속에 패럴림픽의 의미는 더 커졌다. 대회 규모는 동계 올림픽보다 크지 않지만, 역대 동계 패럴림픽 중 최대 대회다. 동계 올림픽에 이어 북한 선수단의 참가도 이루어졌다. 한반도기 문제로 공동 입장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남. 북 선수가 성화 점화 과정에 함께 참가하는 등 평화의 분위기는 여전히 이어졌다. 마지막 성화 점화 과정에서 하체 장애를 가지고 있는 파라 아이스하키 선수가 로프에 의지해 성화대 올라 점화자에서 성화봉을 전달하는 과정은 큰 감동을 주었다. 패럴림픽의 한 마디로 인간 승리의 무대라 할 수 있다. 특히, 동계 패럴림픽은 몇몇 종목은 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