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각 팀에서 1루수는 거포로서 팀 타선의 중심에 서는 선수들이 대부분 위치합니다. 중심타자 = 1루수라는 공식이 거의 정형화되어 있습니다. 2010년과 2011년 시즌 프로야구 공격부분을 이끌었던 이대호는 거포 1루수의 전형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대호의 압도적인 활약은 타 팀 1루수들이 넘볼 수 없는 철옹성과 같았습니다. 2012년 이대호가 떠난 자리에 여러 선수들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기량과 경험, 지명도등에서 앞선 해외파 선수들이 그 선두주자로 꼽히고 있습니다. 한화의 김태균과 삼성의 이승엽, 부상 등의 문제로 주춤하고 있지만 최희섭이 최고 1루수에 가장 근접한 선수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기량만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면 이들 중에서 포스트 이대호의 자리를 차지할 선수가..
어느 분야에서나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것 보다 지키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최고의 자리를 노리는 이들을 이겨내기 위해 그 전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조금만 흐트러진 마음가짐을 갖는다면 심각한 추락을 경험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야구에 있어서도 최고 선수의 자리에 오르는 것은 부와 명예를 자신에서 가져다 주지만 그만큼의 책임이 따릅니다. 더 많은 노력도 역시 필요합니다. 지난해 시즌 프로야구 MVP 윤석민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투수 3관왕의 위업을 달성한 윤석민은 우승팀 프리미엄이 없었지만 시즌 MVP와 골든글러브를 모두 차지하면서 2011년을 자신의 해로 만들었습니다. 석민 어린이라는 별명이 무색할 정도로 그는 최고 선수로 우뚝 섰습니다. 매해 가지고 있는 실력에 비해 결과 아쉬웠던 ..
최근 수년간 프로야구에서 공격력을 대표하는 팀은 롯데였습니다. 특유의 빅볼야구는 롯데야구를 특징짓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롯데의 암흑기 빈약한 공격력으로 고심하던 시기와는 너무나 달라진 모습입니다. 지난 시즌에서도 롯데는 팀 타율, 홈런, 장타율 등 공격 전 부분에서 타 팀을 압도하는 공력지표를 보였습니다. 롯데의 우월한 공격력은 강력한 선발진과 어울리면서 수 년간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게 하는 원동력이었습니다. 불펜의 불안감을 항상 가지고 있었던 롯데였지만 우월한 공격력은 그 어두운 그림자를 잘 덮어주었습니다. 공격의 팀 롯데는 흥행에도 성공하면서 성적과 마케팅 성공을 모두 이루는 시즌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올 시즌 롯데의 공격력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팀의 중심타자 이대호..
1982년 출범한 우리 프로야구는 그동안 수 많은 시건과 기록들을 남겼습니다. 그것들이 모여 하나의 역사과 전통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각종 통산 기록들도 이제는 의미있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그 가치도 크게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 기록들을 만들어낸 선수들 역시 레전드라는 표현이 전혀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그들을 보는 시선도 크게 달라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프로야구에서 통산 기록을 쌓아가야할 노장 선수들에 대한 구단들의 대우는 따뜻하지 않습니다. 젊은 선수들에게 기회를 주기위해서 성적대비 높은 연봉 때문에 코칭스탭과의 관계 설정 문제 등으로 팀으로부터 암묵적인 은퇴를 종용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팀을 대표하는 선수들에게도 예외가 아닌 것이 현실입니다. 대부분이 선수들의 아쉬움을 남기고 선수생활..
지난 수년간 침체기를 겪얶던 한화가 2012년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후반기 돌풍의 팀이 되면서 하위권 탈출의 가능성을 보인 한화는 올 시즌 충실한 전력보강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대한 기대감까지 높이고 있습니다. 박찬호, 김태균으로 대표되는 해외파 선수에 FA 송신영의 영입은 전력상승과 함께 마케팅 측면에서도 큰 상승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하지만 한화가 정말 달라진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는 에이스 류현진의 괴물모드 복귀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그가 15승 이상을 올려주는 확실한 에이스로 마운드의 중심을 잡아야 합니다. 어느 팀이든 에이스 투수의 존개감은 절대적이지만 류현진의 경우 신인시절 부터 한화를 대표하는 선수였습니다. 그가 가지는 상징성은 한화에게 너무나 큰 의미가 있습니다. 실..
올림픽에서 야구종목이 제외 된 이후 전 세계 국가대표팀들이 대결할 수 있는 대회는 WBC(월드베이스볼 클래식)만 남아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대륙간컵(2010년 이후 폐지)이나 야구 월드컵대회가 있지만 프로선수들이 모두 출전하는 대회는 아닙니다. 침체기에 있었던 우리 프로야구가 다시 인기를 회복한데에는 우리 국가대표팀의 WBC에서 보여준 호 성적이 큰 역할을 한것도 사실입니다. WBC 대회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 야구의 수준이 세계수준에 근접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2006년 일본과 치열한 명승부를 주고 받은 끝에 아무도 예상치 못한 4강 진출에 성공했던 대표팀은 2009년 결승 진출에 성공했습니다. 비록 일본에 패하면서 우승을 놓치긴 했지만 우승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