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후반 최강자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던 SK, 올 시즌을 준비중인 SK는 지난해 보다 전력에 고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오랜 기간 팀을 이끌었던 김성근 감독의 전격 경질과 이만수 체제로의 전환에 따란 극심한 후유증을 극복해야 했던 2011년이었다면 2012년은 변화를 안정으로 이끌어야 하는 시즌이기도 합니다. 이만수 체제로 새롭게 시작하는 SK지만 팀 분위기 쇄신 보다 전력 약화를 피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특히 투수력 부분에서 핵심 선수들의 FA 이적과 군 입대, 여기에 부상까지 그들이 자랑하던 불펜의 힘이 크게 반감되었습니다. 여기에 새롭게 구성될 선발투수진 역시 그 활약을 장담할 수 없습니다. 로페즈와 산티아고, 두 외국인 투수가 선발 로테이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는 것은 당연합..
올 시즌 프로야구에서 삼성은 1강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력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고 이승엽이 가세한 타선은 그 중량감을 더했습니다. 풍부한 백업 선수층은 장기 레이스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삼성에 맞설 수 있는 팀들은 전력이 지난해보다 떨어졌습니다. 시즌 초반 부터 삼성이 치고나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삼성의 대항마로 가장 먼저 꼽히는 팀이 KIA입니다. 지난해 후반기 최악의 부진을 겪으면서 1위에서 4위로 턱걸이한 KIA는 준 플레이오프에서도 아쉬운 패배를 당하고 말았습니다. 선수들의 거듭된 부상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그 선수들이 모두 제대로 가동될 수 있다면 선두권을 위협할 전력임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올 시즌 새롭게 감독으로 선임된 선동열 감독의 ..
최근 프로야구의 경향은 불펜진이 강한 팀이 상위권에 근접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000년 후반 강자로 굴림하던 SK는 선발 투수들의 로테이션 구성이 힘들었지만 절묘한 불펜 운영으로 강력한 투수력을 유지했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한국시리즈 단골 진출팀이 될 수 있었습니다. 이런 SK의 대항마로 항상 지목되던 두산 역시 강력한 불펜이 팀 전력의 핵심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두산은 그들의 자랑이었던 불펜이 제 기능을 발휘하고 못하면서 고전했습니다. 이는 팀 전체가 흔들리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김선우, 니퍼트가 15승 이상을 기록하면서 확실한 원투펀치 역할을 했지만 이를 뒷받침해줄 투수진이 너무 빈약했습니다. 특히 불펜의 경우 선수들의 줄 부상과 부진이 겹치면서 어려운 힘든 경기가 이어질 수 밖에 없었습..
최근 프로야구 도루왕의 판도는 슈퍼노닉이라는 별명을 지닌 이대형의 독무대였습니다. 도루왕의 각종 기록을 경신하면서 이대형은 그 타이틀을 놓치지 않았습니다. 그에게 김주찬, 이용규, 이종욱 등이 도전했지만 그와의 격차를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빠른 발과 판단력, 슬라이딩 능력 등 도루를 잘 하는 모든 능력을 지닌 이대형은 초반 뒤쳐져도 후반기 타이틀 홀더는 언제나 그의 차지였습니다. 지난해 도루왕 판도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강력한 후보였던 이대형, 김주찬이 타격부진과 부상으로 주춤하는 사이 새로운 선수들이 다수 등장한 것입니다. 생애 처음 타이틀을 차지한 오재원을 비롯해서 젊음을 무기로한 배영섭, 김상수, 정수빈 등이 새롭게 이름을 올렸습니다. 여기에 정교한 타격능력을 지닌 이용규도 만만친 않은 모습을 보..
프로야구 시즌 시작전 전문가들은 각 팀의 전력을 상중하로 평가합니다. 포스트 진출이 유력한 상위권 팀, 가을야구의 마지막 티켓을 다퉈야 할 중위권 팀, 그리고 시즌 내내 고전을 면치 못할 하위권팀으로 그 구분은 이루어집니다. 물론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이렇나 평가를 받고 시즌을 시작한다는 것이 기분좋은 일은 아닙니다. 특히 하위권 팀에 대한 전망은 대체로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최근 수년 간 상, 중에서 소외되었던 한화의 올 시즌 각오는 그 어느 때 보다 단단합니다. 투타에 걸쳐 상당한 전력이 보강이 이루어졌습니다. 미온적이던 구단의 투자도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메이저 특급 박찬호가 가세하면서 팀 분위기를 상승시키는 효과까지 얻었습니다. 흥행을 주도하는 팀으로 인기몰이를 할 여건..
많은 사건들이 함께 했던 프로야구 스토브리그 동안 지난해 우승팀 삼성은 조용했습니다. 일본에서 돌아온 이승엽의 영입 있었지만 그의 삼성행은 이미 예상되었던 부분이었습니다. 10억이 넘는 파격적인 연봉 계약을 하긴 했지만 뒤이은 한화 김태균의 연봉 15억 계약에 묻히면서 큰 이슈가 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삼성은 타 팀들을 능가하는 탄탄한 전력으로 비교적 여유있게 우승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 여세는 아시아 시리즈까지 이어졌고 일본 챔피언 소프트뱅크를 누르고 우승하는 기쁨까지 누릴 수 있었습니다. 이후 삼성은 타 팀들의 분주함과 달리 이렇다할 움직임이 없었습니다. 팀내 연봉협상 조차 조용하게 진행되었고 외국인 선수 영입도 큰 파장을 일으키지 않았습니다. 모두 전력 보강에 열을 올리는 동안 삼성은 어찌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