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시즌 SK와이번스는 파격에 가까웠던 실험이 성공적 결말로 이어진 시즌이었다.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던 외국인 힐만 감독과 감독 출신 염경엽 단장의 프런트 조합으로 SK는 정규리그 2위, 한국시리즈 우승의 성과를 만들어냈다. 특히, 포스트시즌에서 SK는 끈끈한 승부를 펼치는 등 강한 근성을 발휘하며 플레이오프에서 키움 히어로즈의 돌풍을 잠재웠고 최강 두산에 아픈 기억을 안겨주었다. 2019시즌 SK는 변화의 시즌을 준비하고 있다. SK를 우승 팀으로 이끈 힐만 감독과 이별을 했고 대신 단장이었던 염경엽 감독이 취임했다. 이에 대해 야구팬들 사이에 다소간의 갑론을박이 있지만, 염경엽 감독은 우승 팀 단장이라는 화려한 이력을 가지고 감독으로 SK는 이끌게 됐다. 이에 따라 코치진에 다소 변동이 있었다...
2018 시즌 두산은 그 누구보다 아쉬움이 큰 시즌이었다. 정규 시즌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한 두산은 한국시리즈에서 무난한 승리가 예상됐다. 때마침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정규리그 2위 SK는 플레이오프에서 키움 히어로즈와 5차전까지 이어지는 접전으로 크게 지쳐있었다. 모든 것이 두산에 유리해 보였지만, 두산은 SK의 상승세에 발목이 잡히며 마지막 우승의 영광을 그들에게 내주고 말았다. 불펜의 핵심 자원이었던 김강률이 시리즈를 대비하는 과정에서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했고 4번 타자 김재환의 부상 이탈이 큰 원인이었다. 하지만 두산은 한국시리즈 내내 그들다운 야구를 하지 못했다. 강점이던 수비가 흔들렸고 타선의 응집력도 정규 시즌과 달랐다. SK는 특유의 빅볼 야구에 마운드 운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낮은..
2018 시즌 KIA는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하긴 했지만, 여러 가지 면에서 불만족스러운 시즌이었다. 2017 시즌 정규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챔피언 자리를 차지했던 팀에게 정규리그 5위는 분명 아쉬움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 과정도 시즌 막바지까지 이어진 5위 경쟁을 이겨내야 했을 만큼 힘겨웠다. 모든 전력을 다하고 얻은 포스트시즌 진출의 기회도 와일드카드전 패배로 1경기에 그치고 말았다. 포스트시즌 진출 자체가 절실한 팀들도 있지만, 1위에서 5위로의 성적 하락은 KIA에게 성공적인 시즌이라 할 수 없게 하는 이유였다. 무엇보다 전력의 누수가 없었고 그전 시즌 우승으로 팀 전체에 자신감이 더해졌다는 점도 긍정 요인이었다. 경쟁 예상 팀들의 전력이 약화되었다는 점도 KIA에게는 호재였다. 하지만 KIA..
프로야구 삼성은 최근 수년간 극과 극의 경험을 했다. 삼성은 2011시즌부터 2015시즌까지 5시즌 연속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절정의 전력을 과시하며 최강팀으로 군림했다. 삼성 왕조라는 말이 딱 맞을 정도로 삼성은 정규리그에서 타 팀의 도전을 허락하지 않았다. 정규리그 우승 팀의 이점을 최대할 살린 그들은 4번의 한국시리즈 우승까지 차지하며 챔피언의 자리를 굳건히 했다. 하지만 2015시즌 삼성은 정규리그 5년 연속 우승의 영광과 함께 한국시리즈 패배의 실패를 함께 경험했다. 당시 두산은 정규리그 3위로 포스트시즌 무대를 밟았지만, 놀라운 상승세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했고 삼성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저지했다. 두산의 돌풍도 강했지만, 삼성은 주력 선수들의 해외 원정도박 사건에 연루되는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
2018 시즌 전반기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후반기 급격한 내림세로 포스트시즌 진출의 꿈을 접어야 했던 LG는 오프시즌 기간 외부 FA 영입 등을 통해 전력을 보강할 가능성도 보였지만, 움직임은 없었다. 대신 LG는 마운드와 야수진에 베테랑 선수들을 영입해 선수층을 두껍게 했다. 마운드에는 삼성에서 자유계약으로 풀린 좌완 장원삼과 한화에서 자유계약 신분이 되었던 심수창이 포함됐다. 장원삼은 삼성이 최강팀으로 군림하던 시절 좌완 에이스로 큰 역할을 했었다. 하지만 세월의 흐름 속에 구위가 떨어지고 팀 내 비중이 점점 떨어졌다. 젊은 투수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려는 삼성의 정책 속에 장원삼은 삼성을 떠나야 했다. LG는 여전히 좌완 투수로서 풍부한 경기 경험과 제구 능력이 있는 장원삼에 팀에 보탬이 될 ..
2018 시즌 KT는 창단 후 처음으로 최하위를 벗어났다. 2015시즌 1군 리그에 참가한 이후 한 번도 4할 이상의 승률을 기록하지 못했던 그들에게는 4할 승률을 넘어선 9위는 의미 있는 일이었지만, 그동안 계속된 투자에 비하면 부족함이 있는 결과였다. 물론, 매끄럽지 못한 구단 운영의 문제도 보였다. KT는 2018 시즌 후 코치진 개편으로 팀 분위기를 변화시켰다. 노련한 김진욱 감독을 퇴진시키고 그 자리를 두산 수석코치 출신 이강철 감독으로 대신했다. 김진욱 감독에게 성적 부진을 책임을 모두 지우는 것이 불합리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KT는 초보 감독인 이강철 감독을 통해 분위기 쇄신과 두산의 강팀 DNA 이식을 기대했다. 그도 그럴 것이 KT는 그동안 패배에 익숙한 팀이었다. 선수들 역시 이런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