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즌 정규리그 3위였지만, 포스트시즌 돌풍을 일으키며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던 두산은 최후의 승자로 기록됐다. 한국시리즈 상대 팀 삼성의 외적 변수에 따른 전력약화가 있었지만, 준PO,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에서 넥센, NC, 삼성에 차례로 꺾으며 이뤄낸 결과는 기적과 같았다. 이런 두산의 우승 배경에는 마운드의 힘이 상당 부분 작용했다. 최근 수년간 두산은 마운드가 강력한 팀이 아니었지만, 지난 시즌은 달랐다. 두산은 에이스 니퍼트의 부상으로 인한 공백, 또 다른 외국인 투수의 부진 등 악재가 겹쳤음에도 이를 대체한 선수들의 활약으로 버틸 수 있었다. 특히, 리그 중반 이후 두드러진 좌완 투수들의 역할이 큰 힘이 됐다. 두산은 전통적으로 좌완 투수 기근에 시달리던 팀이었지만, 지나 시즌 좌완 투..
올 시즌 프로야구 개막을 앞두고 가장 많은 변수에 놓여있는 팀 중 하는 삼성이다. 삼성은 5년간 정규리그 우승을 하며 최강팀으로 리그를 평정했지만, 지난 시즌 돌출악재 속에 한국시리즈 우승에 실패한 데 이어 많은 변화를 겪었다. 아직도 그 변화는 진행형이다. 그래도 현대식 시설을 자랑하는 새로운 홈구장으로 이전한다는 건 긍정적인 요소다. 그동안 삼성이 사용했던 대구시민 운동장은 낙후된 시설에 따른 관중 수용능력과 안전도 등에서 문제가 있었다. 삼성으로서는 그동안 강팀으로 그들의 역사를 만들었던 구장을 떠나는 것이 아쉽지만, 명문 구단에 걸맞은 홈구장 이전은 팀은 물론이고 팬들에게도 반가운 일이다. 문제는 명문 구단의 명성을 이어가기 힘들게 하는 환경적 변수다. 우선 팀 운영 주체가 바뀌면서 대폭의 지원을..
2016시즌 개막을 위한 준비가 막바지를 향하고 있다. 각 팀은 연습경기를 통해 실전감각을 높이고 경합 포지션에서 옥석 가리기를 병행하고 있다. 연습경기 성적이 시즌 성적으로 이어진다고 살 할 수는 없지만, 시즌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좋은 컨디션을 보인다는 건 분명 긍정적인 일이다. 특히, 지난 시즌 아쉬움이 많았던 선수라면 시즌을 준비하는 과정이 소중할 수밖에 없다. 한화 최진행에게 2015시즌은 약물 파동에 휩싸이며 아픈 기억으로 남았다. 최진행은 시즌 초반 도핑 검사에 금지약물이 검출되며 30경기 출전 금지의 중징계를 받았다. 고의성이 없었다는 최진행의 주장이 어느 정도 인정된 징계였지만, 그를 바라보는 시선이 사늘해지는 건 막을 수 없었다. 이는 분명 선수에게 분명 불명예스러운 일이었다. 최진행은 ..
프로야구 제10 구단 kt는 지난 시즌 최하위를 넘어 더 나은 성적을 기대하고 있다. 투자에 소극적이라는 인식을 뒤로하고 스토브리그 기간 FA 외야수 유한준을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2차 드래프트에서는 또 다른 베테랑 외야수 이진영을 영입하는 성과도 있었다. kt는 이를 통해 새로 영입한 두 선수와 기존의 이대형, 김상현에 김사연, 하준호, 오정복 등 젊은 선수들의 조화를 이루는 강력한 외야진을 구성했다. 이와 더불어 kt는 재계약에 성공한 외국인 타자 마르테를 중심으로 지난 시즌 환골탈태한 모습을 보여준 박경수, 재기에 성공한 베테랑 내야수 박기혁에 젊고 유망한 선수들로 짜임새 있는 내야진도 구축했다. 지난 시즌 야수진의 선수부족에 허덕이던 kt가 아니다. 여기에 마운드 역시 외국인 투수 3명을 활..
프로야구에서 모든 선수들의 우선 목표는 소속팀의 주전이다. 하지만 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이 기다리고 있고 그 중에서 선택된 이들의 몫이다. 항시 출전이 가능한 주전 선수가 된다는 건 그만큼 힘든 일이다. 그 외 선수들의 한정된 1군 엔트리에 들어가기 위해 또 다른 경쟁을 해야 한다. 그 경쟁에서 밀리면 기약없는 2군 생활을 해야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1군 엔트리 진입 경쟁을 펼치는 선수들에게 스프링캠프는 더없이 소중한 기회다. 1, 2군 통틀어 1군 스프링캠프에 명단이 올랐다는 건 그 가능성을 높이는 일이기도 하다. 다만, 그중에서도 모든 이들이 기회를 잡을 수는 없다. 비 주전 선수들의 백업 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올 시즌을 준비 중인 롯데의 외야 역시 주전을 제외..
수많은 신인들이 매 시즌 데뷔하는 프로야구지만, 그들 중 1군에서 자리를 잡는 일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선수층이 그만큼 두꺼워졌고 외국인 선수 변수도 있다. 아마야구에서 뛰어난 기량을 과시하고도 2군에서 상당 기간 시간을 보내는 일이 허다하다. 그나마 상당수는 이름을 알리지 못하고 소리소문없이 선수 생활을 접는 일도 많다. 삼성 구자욱은 전략적 선수 육성의 성공사례였다. 2012년 삼성에 입단한 구자욱은 일찌감치 군 입대로 병역 문제를 해결하고 1군에서 첫 시즌을 보냈다. 삼성은 팀의 기대주 구자욱에게 퓨쳐스리그에서 경기 경험을 쌓게 하는 한 편, 선수로서 큰 짐을 덜 수 있도록 했다. 2015시즌 1군에서 첫 시즌을 보낸 구자욱은 성공적이었다. 기대 이상이었다. 구자욱은 116경기 출전에 0.349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