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의 우세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던 2012프로야구 준PO는 롯데가 원정 2연전을 모두 쓸어담으면서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롯데는 후반기 침체에 빠졌던 모습이 사라지면서 전혀 다른 팀이 되었다. 경기 후반 불펜의 우위와 하위 타선과 백업 선수들의 활약이 더해지면서 두 차례 역전승으로 PO 진출의 9부 능선을 넘었다. 두산은 믿었던 불펜의 승리 카드 홍상삼이 2경기 연속 무너지면서 충격의 연패를 당했다. 팀 분위기에서 롯데는 절대 우위에 있다. 롯데는 내친김에 3연승으로 시리즈를 마감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할 것이다. 다음 PO 경기를 위해 전력 소모를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2010년 당했던 리버스 스윕의 기억을 되살리고 싶지 않은 롯데의 마음이다. 2010년 롯데는 이번 시리즈와 마찬가지..
롯데와 두산의 준PO 2차전은 1차전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1차전에서 양 팀은 많은 점수를 주고받는 난전 양상의 경기를 했지만 2차전은 선발투수들이 주인공이 된 팽팽한 투수전이었다. 1점차 박빙 승부의 결과는 1차전과 같이 뒷심에서 앞선 롯데의 2 : 1 역전승이었다. 롯데는 적지에서 벌어진 1, 2차전을 모두 잡으며 시리즈 승리에 바싹 다가섰고 두산은 불펜의 약세를 또 절감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경기 시작 전 양 팀은 부상 선수의 공백을 메워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롯데는 주전 포수 강민호가 뛸 수 없었고 두산은 힘 있는 좌타자 오재일의 출전이 불투명했다. 양 팀의 타순과 라인업의 변화가 불가피했다. 두산보다는 공수에서 팀의 핵심 역할을 하는 강민호가 없는 롯데의 전력 누수가 더 심할 수밖에..
롯데와 두산의 준PO 1차전은 야구가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등장한 경기였다. 경기 중 롯데 강민호와 두산 오재일이 부상으로 경기 도중 교체될 정도의 혈전이기도 했다. 연장 10회까지 이어진 승부는 경기 후반 뒷심에서 앞선 롯데의 8 : 5 역전승이었다. 롯데는 초반 리드를 연 이은 실책으로 날리며 어렵게 경기를 풀어갔지만, 극적인 대타 홈런과 불펜의 호투, 승운마저 따르면서 1차전을 잡을 수 있었다. 롯데와 두산은 준PO 1차전은 긴장된 분위기 속에 진행되었다. 1차전 승리 팀이 절대 유리한 5전 3선승제의 시리즈, 그 첫 경기는 선수들에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양 팀 선발 송승준과 니퍼트 역시 긴장된 모습이 역력했다. 하지만 두 투수가 1회 위기를 잘 넘기면서 경기는 초반 투수전으로 ..
정규리그를 마친 프로야구는 이제 가을의 전설을 만들기 위한 포스트시즌 대결로 접어들었다. 그 첫 관문인 준PO 대결의 주인공은 롯데와 두산이다. 두 팀 모두 시즌 중반 선두권을 위협할 정도로 상승세를 타기도 했지만, 리그 후반기 SK에 2위 내준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9월 들어 2위에서 4위로 급 추락한 롯데의 아쉬움은 더하다. 그 덕분에 많은 이들은 롯데의 열세를 예상하고 있다. 분위기가 크게 좌우하는 포스트시즌 특성상 극심한 내림세를 경험한 팀이 상승세로 재반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난 시즌 KIA는 전반기를 1위로 마감하고도 후반기 주전들의 줄부상 속에 팀 전체가 부진에 빠졌고 일찌감치 준PO를 대비하는 팀 운영을 했다. 그러한 대비에도 팀의 내림세는 준PO에 영향을 주었고 무기력하게 패하..
2012년 프로야구 준PO 대결은 롯데와 두산의 세 번째 준PO 만남으로 대진이 짜였다. 양 팀은 잠실 1차전으로 시작으로 PO 진출을 위한 대결을 펼친다. 2008년 이후 포스트 시즌 시리즈를 한 번도 이기도 못했던 롯데는 자신들에게 두 차례 쓰라린 패배를 안겼던 두산에 설욕을 노리고 있다. 두산은 지난 시즌 포스트 시즌 탈락의 기억을 지워내고 강팀의 면모를 되찾으려 하고 있다. 이런 양 팀은 포스트 시즌에서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준PO를 거쳐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팀들이라는 점이다. 1992년 롯데 2001년 두산이 그 주인공이었다. 지금의 포스트시즌 제도가 만들어진 이후 대부분의 우승은 정규리그 1위 팀이었다. 충분한 휴식과 동시에 상대 팀에 대해 철저한 분석을 할 수 있는 이점은 이미 경기..
그 어느 해 보다 순위 싸움이 치열했던 2012년 프로야구, 정규 리그 1위는 삼성이었다. 시즌 시작 전부터 유일한 1강으로 지목되었던 삼성의 우승은 많은 이들이 예상하는 것이었다. 순위예측이 어려웠던 올 시즌이었지만 1위 팀에 대한 예상은 단연 삼성이었다. 가장 단단한 전력에 지난해 우승의 경험, 거기에 돌아온 이승엽의 가세까지 삼성은 전력 누수로 고심하던 타 팀과 비교되지 않는 시작을 했다. 하지만 그 과정은 절대 순탄치 않았다. 시즌 초반부터 우승 후유증에 시달린 삼성은 하위권을 맴돌았다. 부상 선수가 속출했고 주력 선수들의 컨디션이 올라오지 않았다. 이승엽의 가세로 더 강해질 것으로 여겨졌던 타선 역시 최형우의 극심한 슬럼프 속에 지난해보다 떨어지는 모습이었다. 강점이었던 마운드마저 불안해지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