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시즌 정규리그, 한국시리즈 챔피언 KT의 시즌 시작이 부진하다. KT는 4월 18일 현재 3승 10패로 8위에 머물러 있다. 아직 시즌 극 초반이라는 점과 최근 수년간 매 시즌 출발이 원활하지 않았던 그들의 전통 아닌 전통을 고려해도 걱정되는 흐름이다. 무엇보다 경기 내용이 전혀 챔피언답지 않다는 점이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올 시즌에도 강력한 우승 후보라는 평가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KT가 부진한 사이 상위권에는 투. 타의 완벽한 조화 속에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은 경기력을 유지하고 있는 SSG가 확실한 1강으로 자리했고 강력한 불펜진의 LG, SSG에 이어 팀 방어율 2위의 단단한 마운드로 기대 이상의 선전을 거듭하고 있는 키움, 저력의 두산이 자리하고 있다. KT는 겨우내 FA 시장에서 막..

매년 거품론이 강하게 나오고 있지만, FA 시장의 열기는 식지 않고 있다. 트레이드가 여전히 활성화되지 않은 리그 현실에서 외부로부터 전력을 보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국인 선수는 매 시즌 거취가 불투명하고 다년 계약을 하기에는 부담이 큰 탓에 리그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레벨에 있는 선수의 가치는 매우 높다. 해마다 구단들은 오버페이를 경계한다고 한결같이 말하지만, 막상 시장이 열리면 돈 보따리를 풀어놓곤 했다. 몇 번의 예외적인 시즌을 제외하면 시장가는 치솟았다. 이제는 100억원이라는 금액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이런 FA 시장 흐름 속에 들어가지 못한 팀들과 그 팀의 팬들은 강한 소외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올해는 그 안에 2021 시즌 정규리그, 한국시리즈 동반 우승 팀 KT 위즈도 포함..

KT 위즈의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우승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프로야구는 내년 시즌을 위한 스토브리그에 돌입했다. 프로야구 일정이 여러 사정으로 늦어진 탓에 프로 10개 구단은 마무리 훈련과 스토브리그 대비, 외국인 선수 문제 등을 짧은 기간에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각 구단은 마무리 훈련 기간 방출 선수 명단을 추려 발표했다. 10여 명 이상의 신인 선수들의 입단하는 만큼, 그만큼의 기존 선수들이 자리를 비워줘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2년간 코로나 사태로 관중 수입이 급감하고 모기업의 지원이 줄어진 상황에서 각 구단은 자생력을 키워야 하는 과제가 있다. 이에 긴축 경영을 필연적이고 선수단 규모 축소도 불가피하다. 방출 선수 규모도 커지고 있다. 과거 기량 팀 내 입지가 줄어든 베테랑들이 방출 선수의..

정규리그 1위 KT는 확실히 달랐다. KT와 두산의 한국시리즈 1, 2차전에서 KT는 투. 타에서 앞선 전력을 과시하며 2연승했다. 7전 4선승제의 한국시리즈에서 2경기를 먼저 선점한 KT는 한국시리즈 우승에 가깝게 다가섰다. 역대 한국시리즈에서 1, 2차전을 먼저 내주고 시리즈를 승리한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KT가 두산을 경기력에서 압도했다는 점이 KT의 승리 가능성을 더 높이고 있다. 애초 KT의 우세가 예상되는 한국시리즈였다. 정규리그 1위 결정전을 치르고 KT는 충분한 휴식으로 힘을 비축했다. 연습경기 일정에 차질이 생기면서 경기 감각 유지에 어려움이 예상됐지만, 한화의 협조로 실전과 같은 2번의 연습경기를 할 수 있었다. 한 가지 더, 한국시리즈를 앞두고 터져 나온 올 시즌 리그..

프로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열린 우승 결정을 위한 단판 승부의 결과는 KT의 승리였다. KT는 10월 31일 삼성과의 우승 결정전에서 선발 투수 쿠에바스의 역투와 김재윤의 완벽한 마무리, 강백호의 결승 적시타, 베테랑 2루수 박경수의 호수비 등을 묶어 1 : 0으로 승리했다. KT는 삼성과 치른 시즌 145번째 경기를 승리하며 그들의 정규리그 우승 드라마를 완성했다. 이로써 KT는 2013년 창단이 결정되고 2014 시즌 퓨처스 리그 참가, 2015 시즌부터 1군 참가의 단계를 거쳐 2020 시즌 창단 첫 포스트시즌 진출 및 정규리그 2위에 이어 그 다음 해 정규리그 1위라는 구단의 새 역사를 만들었다. 2015 시즌 정규리그 우승 이후 왕좌 복귀를 노렸던 삼성은 우승 결정전에서 타선이 침묵하며 아쉬운 패..

팀당 40경기를 채 남기지 않고 있는 프로야구 후반기 레이스에서 선두 경쟁의 우열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아직 변수가 많이 남아있지만, KT가 시간이 흐를수록 선두 자리를 굳건히 하는 모습이다. KT는 9월 16일 기준 2위 LG에 5.5경기 차로 앞서가고 있다. 최근 10경기 흐름도 5승 3무 2패로 나쁘지 않다. 선두 경쟁팀 LG가 3승 2무 5패, 3위 삼성이 2승 4무 4패로 주춤하고 있는 상황과 대조적이다. 승차가 더 커지는 건 당연하다. 이런 현상의 중요한 원인은 마운드에 있다. 특히, 선발 마운드의 힘에서 KT가 여타 선두 경쟁팀보다 앞서고 있다. 이는 성적에 그대로 반영됐다. KT는 시즌 초반부터 가장 안정적인 5인 로테이션을 유지하고 있다. 후반기 들어 군에서 제대한 또 다른 선발 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