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ThDwP/btq7xTgpS3J/pSFSvjicX3uBWTceU4Gfjk/img.jpg)
1971년 우리 고고학계를 흥분시키는 일대 사건이 발생했다. 고대 삼국시대의 한 축이었던 백제의 역사를 눈앞에서 살필 수 있는 고분이 발견됐기 때문이었다. 그 고분의 주인공은 백제 제25대 왕 무령왕이었다. 무령왕릉은 우리 역사에서 고분의 주인이 누구인지 밝혀진 몇 안 되는 왕이고 이는 그동안 잘못 알려진 백제의 역사를 바로잡는 계기가 됐다. 무령왕릉의 발굴은 백제사 연구에 있어 큰 획을 그은 가치가 큰 일이었다. 역사 교양 프로그램 역사저널 그날에서는 무령왕릉과 관련한 역사적 의의, 당시 시대적 상황 등을 살펴봤다. 무령왕릉의 발견과 발굴은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다. 고분의 발견은 공주 송산리 일대 백제 고분군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한 인부에 의해 우연히 이루어졌다. 일설에 의하면 무령왕릉이 발견되기 얼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xGkXx/btq7lQ5jTax/tml3Zy0g4DKjNDjoWhDTW0/img.png)
일제 강점기의 아픔과 해방의 감격, 이후 일어난 6.25 한국 전쟁의 어려움, 이승만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를 쟁취한 4.19 혁명, 그 민주주의를 좌초시킨 5.16 군사정변까지 해방 후 대한민국의 현대사는 크고 작은 사건들로 가득했다. 그 사건들을 뒤로하고 대한민국은 1970년대부터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뤄냈다. 군사독재의 그늘 속에서 인권이 경시되고 민주주의의 가치가 크게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국민들은 더 나은 삶을 위해 더 잘 살아보기 위해 피땀을 흘렸다. 그 결실은 누구도 이루지 못한 산업화로 이어졌다. 1980년 광주민주화 운동의 아픔과 1987년 6월 민주 항쟁을 거치며 군사독재의 그림자를 걷어냈다. 과거의 완전한 단전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그 어떤 신흥국과는 비교가 안되는 민주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XjImb/btq7gYgB9KD/Rz8aoPuoHirzTyYjuTuxkK/img.jpg)
한반도 동남부의 바다와 접하고 있는 울산광역시는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모여 살았던 긴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선사시대 생활상을 유추할 수 있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는 이를 증명하고 있다. 반구대 암각화는 그 가치에도 보존을 위한 조치가 미흡했고 최근 완성된 댐으로 수장될 위기에 놓여있어 그 보존과 관련해 논란이 지속 중이다. 또한, 울산은 삼국시대 신라의 대표적인 무역항이었고 대외 교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일본과의 무역을 위해 개항한 삼포 중 하나로 대외 교역의 일선에 있었다. 이런 울산은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해방 후 대한민국 산업화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970년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중화학공업의 중심지가 되면서 대표적인 공업도시로 자리했다. 지금은 공업도시를 광역시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FzNG0/btq64ziz4bk/u65quHMZMrncNoqluk10MK/img.jpg)
우리 고대 역사에 있어 고구려, 백제, 신라는 치열하게 대결하며 고대 역사를 써 내려갔다. 삼국은 상호 대결과 함께 교류하기도 했고 강해진 나라를 두 나라가 연합해 맞서는 등의 방법으로 균형을 이루며 적대적인 공생을 했다. 그 관계 속에 고구려, 백제, 신라는 각각의 지형적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른 색깔로 발전했고 민족 문화의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었다. 하지만 삼국시대는 대결의 역사였다. 누군가는 최후의 승자와 나와야 끝나는 대결이었다. 마지막 승자는 신라였고 그 북쪽으로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의 등장과 함께 남북국 시대로 변화를 겪었다. 이런 삼국시대의 역사에서 대결의 가장 중심이 되는 곳은 한강유역이었다. 한강은 드넓은 토지가 비옥한 농토를 형성해 농업이 산업의 중요한 기반이었던 고대 국가에서 중..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RnS5N/btq6QNN8qmV/CDUfeccJ7L7I5sUOIshPXK/img.png)
우리 현대사에서 1968년은 특히, 남북 관계에 있어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였다. 그 해 1월 북한은 124군 소속 특수부대원 31명을 남파시켜 청와대 습격을 시도했다. 1.21사태로 불리는 그 사건에서 북한 특수부대는 청와대 수백미터까지 접근했던 소탕됐다. 31명의 부대원 중 28명이 군경에 의해 사살되고 1명은 실종, 또 한 명은 북으로 도주했다. 단 한 명의 부대원 김신조만이 생포됐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박정희 대통령의 목을 따러 왔다는 말을 거침없이 하면서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 외에도 1968년 1월 23일 원산 바다에서 첩보 활동을 하던 미국 군함 푸에블로호를 납북해 수십 명의 선원들을 억류했다. 그해 10월과 11월에는 동해진 울진, 삼척지역에 100명이 넘는 북한은 울진 삼척지구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yim7R/btq6GqrdiRC/gdJi83xzedGpyeXBIC9oG0/img.jpg)
강원도 철원은 서쪽으로는 경기도 연천과 접하고 동쪽으로는 강원도 화천과 양구와 접하고 있어 경기도와 강원도의 경계에 자리하고 있다. 또한, 철원은 북한과 접하고 있는 최전방의 지리적 입지를 가지고 있다. 철원은 강원도 고성과 함께 그 영역의 일부가 북한과 비무장지대에 속해 있어 남북 분단을 상징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철원은 청정자연을 간직하고 있지만, 우리의 산업화 과정에서 다소 소외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철원은 오래전 화산 폭발과 그 용암이 분출해 형성된 넓은 평원이 기름진 농토가 있다. 한반도에서 보기 힘든 독특한 화산지형은 철원을 강원도의 대표적인 곡창지대로 만들었다. 고대 철원은 넓고 광활한 농토로 인해 풍요의 고장이었다. 또한, 적의 침입에 대비할 수 있는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