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2024 여자 프로배구 챔피언 결정의 승자는 현대건설이었다. 정규 시즌 1위 현대건설은 정규 시즌 2위로 플레이오프를 거친 흥국생명과의 챔피언 결정전에서 1, 2, 3차전을 모두 세크 스코어 3 : 2로 승리하며 시리즈 전적 3 : 0으로 챔피언에 올랐다. 팀 통산 3번째 우승이다. 현대건설로서는 13년 만의 우승이기도 하고 최근 수년간 우승권 전력임에도 우승하지 못했던 불운을 떨쳐낸 결과이기도 하다. 현대건설은 2019-2020, 2020-2021 정규 시즌 1위를 하고도 코로나 팬데믹으로 시즌이 중단되거나 챔피언 결정전이 무산되는 불운이 있었다. 2022-2023 시즌에는 시즌 막바지 아쉽게 정규시즌 1위 자리를 놓쳤고 플레이오프에서 챔피언 결정전 우승 팀 도로공사 돌풍에 밀려 탈락하는 아픔..
시즌 개막 후 얼마 안 지난 시점에 롯데와 LG의 트레이드 소식이 전해졌다. 롯데는 우완 사이드암 투구 우강훈을 LG로 보내고 LG의 내야수 손호영을 영입했다. 이 트레이드는 롯데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했고 LG는 미래 투수 자원을 더하게 됐다. 롯데가 영입한 손호영은 독특한 이력을 가진 선수다. 손호영은 메이저리그 도전을 위해 마이너리그에서 활약하기도 했고 국내로 돌아와 독립 야구단인 연천 미라클 선수로 한 시즌을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아마 야구 시절부터 재능을 인정받는 내야수였고 2020 신인 드래프트에서 비교적 높은 순위인 2차 3라운드 전체 23순위로 LG의 지명을 받았다. 선수 뎁스가 두꺼운 LG임을 고려하면 의외의 선택이었다. LG 역시 그의 가능성을 눈여겨보고 있었던 것으..
롯데 자이언츠가 2024 시즌 첫 홈경기에서 힘겹게 시즌 첫 승에 성공했다. 롯데는 3월 29일 NC와의 주말 3연전 첫 경기에서 3 : 1로 승리했다. 이 승리로 롯데는 4연패를 끊었고 홈 개막전을 위해 관중석을 가득 메운 홈 팬들에게 기분 좋은 승리를 안겼다. 롯데는 승리하긴 했지만, 경기 내용은 만족스럽지 않았다. 롯데는 연패 탈출을 위해 로테이션 순서 상 등판 예정이었던 5선발 이인복 대신 1선발 윌커슨을 선발 투수로 마운드에 올렸다. 반대로 NC는 로테이션대로 5선발 투수 김시훈이 마운드에 올랐다. 선발 매치업은 롯데가 우위에 있었지만, 경기는 NC가 주도했다. 시즌 초반 전체적으로 부진한 롯데 타선은 NC 선발 투수 김시훈의 공을 제대로 공략하지 못했다. 출루가 이루어지긴 했지만, 득점이 나오..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프로 스포츠인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는 지극히 미국적인 스포츠다. 야구의 기원은 여러 설이 혼재하지만, 현대 야구의 규칙은 미국에서 만들어졌다. 메이저리그는 미국의 현대사와 함께 한 스포츠로 19세기 후반 프로리그를 창설됐고 제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도 국민 스포츠로 성장을 거듭했다. 지금은 그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고 하지만, 메이저리그는 여전히 미국에서 미식축구, 프로 농구, 프로 아이스하키와 함께 4대 프로 스포츠로 확고히 자리하고 있다. 메이저리그는 그 긴 역사 속에서 수많은 이야기들이 만들어졌고 거대한 역사적 서사를 이루고 있다. 그것이 긍정적이었던 부정적이었던 메이저리그의 역사는 세계 야구 역사 그 자체였다. 현재 야구를 즐기는 나라들은..
메이저리거 류현진의 전격 복귀로 2024 시즌 프로야구 화제의 중심에 섰던 한화 이글스가 순위 판도를 흔들 수 있는 팀의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다. 한화는 LG와의 개막전 패배 이후 내리 4연승하면서 선두권으로 올라섰다. 아직 시즌 극 초반이라고 하지만, 경기 내용에서 이전과는 다름을 체감하게 하고 있다. 이는 주중 3연전에서 지난 시즌 크게 열세를 보였던 SSG와의 원정 3연전을 모두 승리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올 시즌 한화의 큰 장점은 안정된 마운드다. 류현진이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하면서 5인 로테이션이 단단해졌고 올 시즌 첫 등판에서 모두 안정감을 보였다. 개막전 선발 투수로 등판했던 류현진이 패전을 기록하며 부진했지만, 수비 실책과 오랜만에 선 KOB 리그 마운드 적응의 문제가 있었다. 주말 3연전..
프로야구가 개막한 이후 세 팀은 아직 시즌 첫 승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롯데와 KT, 키움이 그들이다. 이 중 키움은 올 시즌 분명한 전력 약세로 인해 고전이 예상됐던 팀이었지만, 롯데와 KT는 다소 의외다. 다만, KT는 매 시즌 시즌 초반보다 중반 이후 페이스를 급격히 끌어올리며 상위권에 올라서는 패턴을 보였다는 점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지만, 롯데는 상황이 다르다. 롯데는 전통적으로 시즌 초반 강세를 보였다. 다만, 지속력 부족으로 그 흐름을 이어가지 못하면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했다. 지난 시즌도 마찬가지였다. 롯데는 지난 시즌 4월을 넘어 5월까지 선두권 경쟁을 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의 희망을 키웠지만, 여름이 되면서 급격히 내림세를 보였고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2024 시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