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지후니 매거진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지후니 매거진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5281) N
    • 짧은 생각 (14)
    • 스포츠 (3943) N
      • 야구 (847)
      • 스포츠일반 (137)
      • 롯데자이언츠 (726)
      • 야구 그리고 추억 (9)
      • 2014 프로야구 (119)
      • 2015 프로야구 (170)
      • 2016 프로야구 (313)
      • 2017 프로야구 (307)
      • 2018 프로야구 (270)
      • 2019 프로야구 (208)
      • 2020 프로야구 (277)
      • 2021 프로야구 (282)
      • 2022 프로야구 (189)
      • 2023 프로야구 (83) N
    • 역사 (2)
    • 문화 (511) N
      • 조용필 (21) N
      • 미디어 (308) N
      • 공연 (2)
      • 김영철의동네한바퀴 (133)
      • 역사 (46) N
    • 발길 닿는대로 (637)
      • 2020년 제주여행 (15)
      • 김포 (61)
      • 도시 (156)
      • 여행 (176)
      • 풍경 (59)
      • 체험 (21)
      • 행사 (18)
      • 호주여행 (16)
      • 제주여행 (11)
      • 모델 (16)
      • 여러가지 (38)
      • 꽃들 (9)
      • 스냅샷 (18)
      • 스마트폰사진 (23)
      • 동영상 모아보기 (0)
    • 우리 농산어촌 (169)
      • 강원에서 (13)
      • 충남에서 (36)
      • 충북에서 (11)
      • 전북에서 (7)
      • 경남에서 (43)
      • 전남에서 (26)
      • 경북에서 (8)
      • 방방곡곡 (25)
  • 방명록

여름 (30)
어느 날, 작은 포구에 가다.

영종도에 삼목 선착장이라는 작은 포구가 있습니다. 이곳에서 배를 타면 드라마 배경으로 이름난 명소들이 있는 신도나 서해 섬들로 갈 수 있습니다. 영종도 하면 을왕리 해변만 떠올리던 저는 도로 표지판을 보고 차를 달려 찾았습니다. 주말의 북적임을 기대했지만 포구는 너무나 조용했습니다. 넓은 바다와 하늘이 먼 길을 달려온 저를 맞이해 주었습니다. 넓은 공간속에서 잠시 저 만의 시간을 가져 보았습니다. 조업을 마친 어선 한 척이 포구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어부님들의 표정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만선의 기쁨이 이 배에는 없었던 모양입니다. 저 멀리 여객선이 포구로 다가옵니다. 작은 어선과 묘한 대조를 보입니다. 누군가는 삶을 위해 누군가는 즐거움을 위해 배를 탑니다. 조업을 마친 배들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잔잔..

발길 닿는대로/여행 2010. 6. 12. 07:00
초여름, 이른 아침을 담다.

여름의 아침은 참 빨리 시작합니다. 아침 잠이 많은 저지만 햇살이 창 밖에서 밀려 들어오면 단잠을 깨기 일수지요. 여름의 태양은 그만큼 강렬하고 밝습니다. 여름 태양이 만든 햇살에 이끌려 이른 아침, 집 주변을 담았습니다. 삭막하게만 보이는 콘크리트 건물들이지만 새벽에 뜨는 태양과 어울리니 나름 운치있는 풍경을 만들어줍니다. 둥근 달과 같은 태양은 실루엣의 건물과 어울리면서 멋진 일출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가끔은 일그러진 모습으로 강렬한 에너지를 발산하기도 합니다. 같은 곳에서 뜨는 태양이지만 여름의 태양은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집 근처 산에 올라봅니다. 저 멀리 아파트는 인공의 구조물이라기 보다 하늘아래 구성물 같습니다. 아침의 빛은 땅 위에 있는 모든 것들을 가치있게 만들어 주는 듯 합니..

발길 닿는대로/김포 2010. 6. 11. 07:00
더위가 반가운 꽃들도 있습니다.

 더운 날씨에 몸과 마음이 지쳐가는 6월입니다. 봄을 다 즐기기도 전에 계절은 한 여름속으로 사람들을 이끌고 갑니다. 사람들은 지치지만 뜨거운 태양이 반가운 이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여름하면 장미가 아닐까요? 정열적인 빨간 색이 여름하고 너무 잘 어울립니다. 아침 햇살을 받은 장미꽃들은 빨간 빛을 더욱 더 정열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장미꽃들 사이로 나팔꽃이 수줍게 머리를 내밀었습니다. 화려하지 않지만 은은한 아름다움이 가던 발걸음을 멈춥니다. 집 앞 작은 화단에도 멋진 꽃이 피었습니다. 분홍과 하얀 색의 꽃들은 강렬한 햇살에 더 생기를 띠고 있습니다. 이름모를 꽃 사이로 벌 한마리가 꿀을 모으기에 여념이 없습니다. 예전에 흔하게 보았던 꿀벌들을 찾기 ..

발길 닿는대로/꽃들 2010. 6. 8. 22:51
텃밭에 나가면

집근처 작은 텃밭이 하나 있습니다. 근처 어른들이 모여 밭을 가꾸고 각종 채소를 키우는 곳인데요. 작지만 그 생산량이 제법 많습니다. 역시 농촌에서 나고 자란 분들의 내공은 대단합니다. 이른 아침 텃밭을 찾았습니다. 주변 논에 심어진 모들은 좌우정렬되어 무럭무럭 자라고 있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될 모습들이 기대되더군요. 밭 한편에 심어진 파들이 잘 정돈되어 있습니다. 전날 내린 비가 이들에게 좀 더 생기를 불어넣어 주고 있었습니다. 상추나 각종 채소가 한 편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때 이른 더위가 이들을 더욱 더 잘 자라게 하는 듯 합니다. 심은지 얼마 안되었는데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하얀 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완두콩밭 사이로 이런 꽃을 보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초록 잎 사이로 피어난 꽃이..

발길 닿는대로/김포 2010. 6. 2. 10:15
연꽃들을 모았습니다.

2009년, 농산어촌을 다니면서 많은 꽃들을 담을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 연꽃의 모습들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연꽃은 더럽고 탁한 물에서 자라지만 그 꽃은 너무나 깨끗합니다.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기도 한데요. 오랜 고행을 거쳐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이 연꽃이 피는 과정과 비슷합니다. 연꽃이 아름다운 건 열악한 환경을 이겨냈기 때문이겠지요. 하얀 연꽃은 마음을 차분하게 합니다. 세상에 찌든 마음의 때가 씻겨지는 듯 하고요. 비가 와도 연꽃은 피어납니다. 그 존재를 좀 더 알리고 싶겠지요. 촉촉히 젖은 모습이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햇살이 그 연꽃을 비추고 있습니다. 연꽃이 날개를 펼치려합니다. 분홍색이 마음을 따뜻하게 하네요. 한편에서는 연꽃이 한잎 한잎 떨어지고 있습니다. 연꽃은 시들어 가면..

발길 닿는대로/꽃들 2009. 12. 19. 12:58
뭉게구름이 좋았던 날

태풍이 지나가도 뭉게 구름이 하늘에 피었습니다. 이런 구름을 볼 수 있는 날이 일년 중 얼마나 될까요? 태풍의 가져오는 비, 바람은 싫지만 남겨둔 구름은 멋진 풍경을 만들어 줍니다. 하늘에 솜사탈이 생겼습니다. 손에 잡힐 듯 하네요. 먹구름이 제 시선을 방해합니다. 질투를 하는 건가요? 뭉게 구름은 일몰도 멋지게 합니다. 지는 해가 구름속에 들어가서 일찍 쉬는 듯 합니다. 따뜻한 솜털같이 편안함을 느끼는가 보네요. 남은 여름 더 멋진 하늘을 기대합니다.

발길 닿는대로/풍경 2009. 8. 16. 21:18
이전 1 2 3 4 5 다음
이전 다음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2023 프로야구, 기세의 롯데 든든히 지탱하는 ⋯
  • 역사 이야기, 국난 극복 위해 종교적 신념 접은 ⋯
  • 2023 프로야구, 최고 흥행카드로 돌아온 롯데와⋯
  • 2023 조용필 콘서트, 5월의 마지막 토요일 밤⋯
최근에 달린 댓글
  • 잘 보고 갑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행복한 밤 되세요
  • 또 놀러올께요! 항상 정성스러운 포스팅 잘보고 갑니다!
  • 늘 즐겁게 읽고 있습니다~! 행운 가득한 하루되세요~ ⋯
  • [비밀댓글]
Total
8,377,379
Today
1,110
Yesterday
1,504
«   2023/06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 2023/06 (2)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