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에서 외국인 선수는 1군 선수단 구성에서 3명으로 제한되지만, 그들의 활약 정도는 팀 성적과 직결된다. 그 활약 정도에 따라 하위권 팀이 포스트시즌 진출을 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리그 선수층의 두껍지 못한 이유도 있지만, 똑같은 제한 조건에서 영입된 선수들의 역량은 상대적 차이가 클 수 있고 그만큼 전력에 큰 영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3 시즌은 그 어느 때보다 외국인 선수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국내 선수들의 전력이 스토브리그 기간 FA 시장이 크게 요동치면서 평준화됐고 두 번의 국제 경기 일정이 있기 때문이다. 이 대회에서 각 팀은 주력 선수들이 국가대표로 차출되고 그에 따른 변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우선, 3월 8일부터 3월 21일 사이 진행되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 WBC..
2023 프로야구를 앞둔 스토브리그에서 가장 큰 전력 손실을 경험한 프로야구 구단을 꼽으라면 NC 다이노스다. NC는 FA 시장에서 주전 포수 양의지와 주전 유격수 노진혁을 떠나보냈다. 이미 그전 해에는 중심 타자 나성범이 FA 자격을 얻은 후 NC가 아닌 KIA와 계약하며 NC를 충격에 빠뜨렸다. 나성범은 NC가 입단 이후 투수에서 타자로 전환시킨 이후 팀의 간판선수로 육성했고 나성범은 NC가 강팀으로 올라서는 과정에 함께 하며 리그를 대표하는 좌타 거포로 자리했다. 이에 나성범은 NC에 대한 애정이 매우 강했고 NC 역시 팀의 역사와 함께 한 상징성이 큰 나성범이 FA 자격을 얻은 이후에도 잔류를 자신했다. NC는 그동안 FA 시장에서 자금력에서 타 구단에 절대 밀리지 않았다. 머니 게임이라면 자신이..
2022 시즌을 보낸 프로야구 10개 구단 중 우승을 차지했던 SSG 랜더스를 제외하면 모든 구단이 아쉬움이 남는 시즌이었다. 그중 KT는 아쉬움의 깊이가 가장 컸다. KT는 2021 시즌 정규 시즌, 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을 했던 디팬딩 챔피언이었고 그 전력을 그대로 유지한 채 2022 시즌을 맞이했다. 여기에 리그를 대표하는 홈런 타자 박병호를 FA 시장에서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KT는 박병호가 30대 중반을 넘어서며 기량이 내림세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타자에 보다 유리한 KT 홈구장에서 반등할 수 있다는 평가를 했다. 또한, 2021 시즌 후 은퇴한 베테랑 타자 유한준을 대신하는 의미도 있었다. 같은 1루수의 중심 타자 강백호의 수비 부담을 덜고 신. 구 거포의 조화와 시너지 효과도 ..
87승 55패 2무승부, 승률 0.613, 1위와는 2경차 2위, 누가 봐도 성공적인 LG 트윈스의 2022 시즌이었다. 하지만 LG의 최종 성적은 3위였다. 포스트시즌 성적으로 성적을 결정하는 KBO 리그에서 LG는 정규리그 성적을 그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는 정규리그의 성과를 빛바래게 하고 말았다. 포스트시즌에서의 아쉬운 패배 때문이었다. LG는 플레이오프에서 그들보다 정규리그에서 7경기 뒤졌던 키움에 패했다. 대부분이 SSG와 LG의 한국시리즈를 예상했고 당연히 그렇게 될 것이라 예상됐지만, LG는 포스트시즌에서 놀라운 집중력을 보인 키움에 밀렸고 이변의 희생양이 됐다. 그 후폭풍은 강력했다. LG는 팀 역사상 가장 많은 정규리그 승수를 기록하고도 변화에 더 무게를 두며 스토브리그에 들어갔다. 당..
지난 2년간 롯데는 스토브리그에서 이슈메이커였다. 대형 FA 선수를 영입한 건 아니지만, 적극적인 트레이드와 창의적인 FA 계약 등 구단 운영의 창의성을 보였다. 기존 롯데의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깨뜨리려는 듯 구단 운영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 결과 체계적인 선수 육성 시스템이 만들어졌고 프런트 조직과 코치진도 새롭게 개편됐다. 롯데 프런트와 코치진에는 다수의 외국인이 자리했다. 이런 인적 쇄신은 기존의 시스템을 바꾸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를 두고 팀 정체성과 역사가 사라지는데 따른 아쉬움을 표하는 이들도 있었다. 하지만 롯데는 젊은 성민규 단장 체제에 힘을 실어주며 변화에 더 큰 비중을 두고 구단을 운영했다. 단장과 방향성에서 차이는 보이는 감독도 교체하며 단장이 변화를 주도하도록 했다. 롯데..
키움 히어로즈는 여러 가지로 다른 9개 구단과 그 색이 다르다. 굴지의 대기업들이 모기업이 있는 다른 구단과 달리 키움은 모기업이 없다. 말 그대로 야구를 전문으로 하는 야구 기업이다. 모기업의 지원에 의존하지만, 그 지원으로 재정적 유연성이 있는 타 구단과 달리 키움은 자급자족의 체제다. 키움이라는 이름도 모기업이 아닌 메인 스폰서의 이름이다. 히어로즈 구단의 메인 스폰서가 키움인 셈이다. 메인 스폰서 계약에 따라 히어로즈 앞세 있는 이름을 달라질 수 있다. 키움 전에는 넥센이었고 메인 스폰서가 없었던 시절도 있었다. 이는 보다 독자적인 구단 운영을 가능케 하지만, 반대로 재정적인 압박을 수시로 받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과거 히어로즈가 창단한 이후 스폰서 문제가 난관에 부딪히자 히어로즈는 주력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