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고지 우선 지명이 사라지고 전면 드래프트로 변경된 후 처음 맞이하는 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롯데가 예상과 다른 1라운드 지명을 했다. 롯데는 1라운드 전체 세 번째 순서로 휘문고 내야수 김민석을 선택했다. 애초 연고지 경남고 선수인 포수 김범석과 투수 신영우 지명에 대한 가능성이 컸지만, 롯데의 선택은 달랐다. 롯데가 지명하지 않은 김범석과 신영우는 각각 LG, NC의 1라운드 지명을 받았다. 그만큼 잠재력을 인정받는 신인들로 롯데의 선택은 주목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 이면에는 깊은 고민이 존재한다. 만약, 이번 신인 드래프트의 강력한 전체 1순위 후보였던 덕수고 심준석이 그대로 드래프트에 참가했다면 롯데의 선택지는 분명했다. 심준석은 150킬로 이상의 속구를 쉽게 던지는 파이어볼러 선발 투수다. ..
프로야구 40주년을 맞이해 KBO에서 선정해 발표하고 있는 40인의 레전드 중 가장 최근의 주제는 우타 거포를 대표하는 선수 4명이었다. 그 이름은 빙그레와 한화를 거치며 리그를 대표하는 거포로 큰 활약을 했던 장종훈, 두산의 구단 역사에 남을 우타 거포 3인방인 김동주, 심정수, 외국인 타자 우즈가 그들이었다. 이 중 장종훈은 프로야구 초기 당시로는 생소했던 연습생, 지금의 신고 선수 신분으로 입단해 최고 성공한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그는 1992 시즌 KBO 리그 역사에서 최초로 정규 시즌 40홈런을 돌파한 선수였고 1991시즌과 1992 시즌 장정훈 지수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타격 각 부분에서 상위권에 자리할 정도로 리그를 지배했던 선수였다. 그는 빙그레와 한화로 팀 명이 바뀌는 과정에서도 원..
사실상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5개 팀이 결정되었다 할 수 있는 프로야구 2022 시즌이 그 끝을 향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경기는 남았고 상위권 팀들은 조금이라도 순위를 끌어올리기 위해 하위권 팀들은 희미한 희망을 불씨를 살리기 위해 온 힘을 다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가장 치열한 순위 경쟁 지점은 키움과 KT가 반경기차로 엎치락뒤치락 하고 있다. 3위 경쟁이다. 두 팀은 9월 들어 자고 나면 순위가 변화하는 상황이다. 2위 LG에 이들보다 6경기 정도를 앞서가는 상황에서 2위 추격이 어렵다는 점은 고려하면 두 팀에서 최상의 결과는 정규리그 3위다. 정규리그 3위는 와일드카드전을 거치고 올라와야 하는 4, 5위 팀의 승자와 대결한다. 한숨 돌리고 포스트시즌에 임할 수 있다. 3위와 4위는 분명 큰 차이가 ..
팀 당 20경기 정도를 남긴 시점에 2022 시즌 프로야구는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5개 팀이 어느 정도 확정된 분위기다. 한때 크게 흔들렸던 5위 KIA가 제 페이스를 찾으면서 6위권의 추격을 완전히 뿌리쳤다. 6위 팀에 5경기 차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KIA가 심각한 연패에 빠지지 않는다면 6위 팀의 역전은 어렵다. 남은 건 포스트시즌 진출 팀 내에서의 순위 경쟁이다. 가능하면 높은 순위기로 정규리그를 마치는 게 포스트시즌에서 절대 유리하다. 포스트시즌에 오른 팀이라면 누구나 한국 시리지 진출을 기대한다. 와일드카드 전부터 시작하는 포스트시즌 체제에서 가장 밑단에 자리하는 건 험난한 일정을 예고한다. 포스트시즌 진출 팀들이 온 힘을 다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다. 1위 경쟁은 SSG가 크게 앞서가며 정규리그..
5위 추격의 기회를 번번이 놓치며 5위 KIA와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롯데가 순위 경쟁의 지속 여부를 결정한 한 주를 맞이했다. 롯데는 이번 주 KIA, 삼성, NC와 차례로 대결한다. KIA는 따라잡아야 할 상대고 삼성과 NC는 6위권 경쟁자다. 상위권 팀이 아닌 만큼 승리할 가능성이 더 큰 팀들이다. 경기장도 울산, 대구, 부산으로 이동거리도 길지 않다. 승률을 끌어올리기 좋은 기회다. 만약, 기대했던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시즌 운영의 방향을 사실상 접어야 할 상황이다. 롯데는 지난주 아쉬운 한 점차 패배를 반복하며 5위와의 승차를 좁힐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키움과 두산, LG로 이어지는 만만치 않은 일정에 수도권 원정 이후 부산으로 이어지는 긴 이동 거리의 불리함이 있었지만, 순위 경쟁..
시즌 초반부터 내내 정규리그 1위를 유지하던 SSG의 기세가 최근 꺾이고 2위 LG가 급부상하면서 선두 경쟁의 불씨가 되살아나고 있다. 최근 10경기 LG는 7연승과 함께 8승 2패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대로 SSG는 4승 6패로 주춤했다. 그 결과 9월 4일 기준, 양 팀의 승차는 4경기 차로 좁혀졌다. 한때 8경기와 9경기 차이를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 큰 변화다. 큰 이변이 없다면 SSG의 정규리그 우승이 확정적이었지만, 그 큰 이변이 발생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LG의 막판 뒷심이 판도 변화의 변수가 됐다. 후반기를 시작하는 시점에 LG는 2위 키움에도 밀리는 3위였다. 당장 2위 추격도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1위는 한참 더 멀리 떨어져 있었다. 하지만 LG는 조용히 그리고 꾸준히 승수를 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