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 피해자 손해배상금의 우리 정부 제3자 변제와 관련해 사회적 관심이 크다. 정부의 방침은 우리 대법원의 보상금 지급 판결과 이어진 강제집행 등으로 인해 악화된 한. 일 양국의 관개 개선을 위해 손해배상금을 한국 민간 기업들이 출연해 만든 기금을 통해 지급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정부는 이와 관련해 한. 일 관계 개선을 위한 대승적 결정이라고 했고 이를 계기로 한국과 일본이 미래를 향해 함께 갈 수 있음을 결정의 이유로 하고 있다. 이런 발표 이후 한국과 일본은 오랜만에 일본에서 한. 일 정상회담을 열었고 양국 정상이 서로의 얼굴을 마주하고 각종 현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상당한 치적으로 여기고 있지만, 여론의 흐름은 정부의 기대와 다르다.
우선, 제3자 변제의 강제 징용 피해가 손해배상금 지급 방식이 우리 사법부의 결정을 무력화하는 일로 삼권 분립에 위배된다. 법원의 판결은 일본 기업의 배상을 인정하고 그에 필요한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신 압류와 강제 집행을 허용하도록 했다. 행정부가 나서서 이 결정의 의미를 퇴색하게 하는 건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자체를 부정하는 일본의 일관된 주장을 뒷받침하는 일이기도 하다.
또한, 한국의 민간 기업이 기금을 출연하는 방식 또한 쉽게 동의하기 힘든 일이다. 이는 1965년 한. 일 수교 협상과 청구권 협정 당시 일본의 경제 지원으로 세워진 세워지고 발전한 기업들이 그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는 일본 정부가 주장하는 청구권 소멸을 그대로 인정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제3자 변제안이 일본측의 호응을 얻을 수 있다고 했지만, 일본은 여전히 강제징용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의 강제 징용 제3자 배상안이 발표된 이후 얼마 안 된 시점에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이 없었다는 주장을 공식적으로 다시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대법원 판결의 가해자 기업의 기금 출연 가능성도 제로에 가깝다. 이로 인해 피해자가 피해자에게 배상하는 이상한 상황이 벌어지게 됐다. 이는 최근 과거사에 대한 부정과 왜곡을 거듭하고 있는 일본 정부에 힘을 실어주는 일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본 방문 시 회담 내용 역시 매우 굴욕적이라는 여론이 강하다. 정부는 부인하지만, 일본 언론들인 회담에서 독도 영유권 문제와 졸속 합의 후 파기된 위안부 합의의 이행,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강제 징용인들의 아픈 역사가 담긴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등재 등 문제를 거론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정부는 한 번의 양보가 미래를 위한 큰 결단이라 했고 일본 정부의 호응을 기대한다고 했지만, 일본은 오히려 그 양보에 더해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혹을 떼러 간 대통령의 일본 방문이 오히려 혹을 더 붙인 격이 된 상황이 됐다. 여기에 대통령의 일본 정부 입장을 옹호하는 발언에 심지어 일본의 이익이 한국의 이익이라는 발언, 일본 대학 강연에서 인용한 일본 인물이 과거 조선의 침략을 정당화하고 군국주의 사상의 기초를 만들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 여론을 더 들끓게 했다.
여기에 한. 일 정상의 만찬 장소로 사용됐던 도쿄의 오래된 음식점, 그리고 그 메뉴가 된 오므라이스, 돈가스에 대해서도 또 다른 해석을 하는 이들이 있다. 그 음식점은 앞서 언급한 음식의 원조로 인정받고 있고 일본 서구식 근대화를 상징하는 매우 유서 깊은 장소다.
오므라이스, 돈가스는 일본에서는 매우 의미가 큰 음식이고 우리나라에서도 경양식이라 부르는 한국화된 서구식 식당의 메뉴로 일상에서 보편적인 음식이기도 하다. 즉, 오므라이스와 돈가스는 한국과 일본의 근. 현대사를 관통하는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오므라이스와 돈가스가 일본을 거쳐 한국에 전파된 음식으로 일제 강점기 근대화론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해석이 있고 일본 정부측에서 일부러 그 장소를 선택해 한. 일 근 현대사에서 일본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더 나아가 일제 강점기 근대화론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삼은 게 아닌가 하는 비판도 있다. 물론, 지나친 확대 해석이라 할 수도 있다. 다만, 오므라이스와 돈가스의 기원을 따라가다 보면 한. 일 정상회담의 만찬장과 메뉴에 대한 의미를 쉽게 지나치기 어렵다.
오므라이스는 서양의 대표적 일상식인 오믈렛과 밥을 합친 단어로 일종의 볶음밥을 오믈렛으로 싸 먹는 형태의 요리다. 서양의 오믈렛에는 밥이 들어가지 않지만, 일본에 이 요리가 소개되면서 그들의 식성에 맞게 변형됐고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에 들어와 가정식으로 간편식으로도 사람들이 찾고 있다.
돈가스는 서양에서 고기를 튀겨 만드는 요리인 커틀릿이 변형된 형태로 발전한 요리다. 서양에서는 이 요리에 주로 소고기가 사용되지만 일본에서 돼지고기를 사용했고 돈가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돈가스라는 이름은 돼지를 뜻하지 돈 자에 커틀릿의 일본식 조어인 카쓰레스가 조합되어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 여기서 카쓰는 일본에서는 이기다는 뜻의 카쓰와 같은 발음으로 인해 돈가스는 일본의 수험생들이 시험 전 즐겨 먹는 음식이기도 하다.
오므라이스와 돈가스는 카레라이스, 고르케 등과 함께 일본의 서양식 요리를 대표한다. 일본은 그들의 서구식 근대화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 메이지 유신 이후, 정부 주도로 사회 전반에 서구화 정책을 강력히 시행했다. 그 과정에서 식생활 역시 서구식으로 변화시키려 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일본은 육식 고기를 사실상 금하고 있었다.
일본의 집권층은 육식을 장려하면서 이를 통한 체형의 변화를 꾀하려 했다. 하지만 오랜 세월 굳어진 식문화를 쉽게 바꾸긴 어려웠다. 대신 서양의 음식을 그들의 실정에 맞게 변형해 소비를 유도했다. 그렇게 등장한 게 일본식 서양 요리다. 일본은 일본인들의 이런 일본식 서양요리를 화양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서양의 정식 코스 요리를 간소화한 경양식으로 불리며 발전했다. 경양식 식당은 1980년대까지 일반 국민들이 특별한 날 찾는 식당이었다.
이 점에서 오므라이스와 돈가스는 한. 일 간 문화 교류의 한 단면으로도 볼 수 있다. 다만 그 교류는 일제 강점기 수평적인 관계가 아닌 불평등한 관계속에서 형성되었다. 일본의 조선에 대한 침략 명분에는 미개한 나라 조선을 근대화해 준다는 논리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 점에서 일제 강점기 전해진 식 문화는 일반적인 문화 교류와는 차이가 있다.
한. 일 정상이 오찬을 함께 한 음식점은 1895년 문을 연 서양식 일본 요리의 시초가 되는 곳이고 그 음식점이 있는 지역은 일본의 대표적인 부촌이자 명품 숍들이 즐비한 도쿄 최고의 번화가이기도 하다. 즉, 만찬의 장소는 일본에서는 근대화가 시작된 장소로도 그 의미가 크다. 이 장소를 굳이 만찬 장소로 정했다는 건 그 이면의 의심을 거둘 수 없는 이유다.
마침 그 식당이 민비, 명성왕후가 일본인들에 의해 시해당한 해에 문을 열었다는 점도 마음에 걸리는 부분이다. 이후 조선은 사실상 일본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이런저런 상황과 최근 한. 일 관계 등을 종합하면 만찬 장소에 대한 여러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물론, 한 편에서는 일본 서민들의 음식을 함께 하면서 상호 친밀감을 더하는 의미도 있다 할 수 있고 실제 정상들이 외국 방문 시 그 나라의 서민 식당을 찾는 일도 있다.
하지만 외교가 모든 절차, 의전, 행위와 발언 모든 점이 사전에 계획되고 조율되어야 하고 그런 행동과 말 하나에 큰 의미가 부여됨을 고려하면 꼭 그 장소여야만 했을까라는 의문을 피할 수 없다. 정상 간 친목을 도모했을지 몰라도 회담 이후 일본 정부의 태도 등을 보면 한국 정부의 노력이 일방적인 구애가 아니었는가 하는 의문도 생긴다.
또한, 이러한 해석을 가능토록 한 최근 정부의 대일 외교 역시 큰 아쉬움이 생긴다. 대일 굴욕외교라는 비난에도 이를 감수하겠다고 했고 이로 인해 경제효과와 국익을 먼저 고려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앞으로 어떤 계획인지 그리고 미래 지향적 한. 일 관계의 청사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내가 마음을 열었으니 상대도 마음을 열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는 외교에서는 결코 현실이 되기 어렵다.
당장 노골화되고 있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문제와 실행이 임박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와 관련한 대응이 필요하다. 미래지향적 한. 일 관계가 우리 주권과 국익을 저해하는 일본의 행태를 용인하는 것이라면 한. 일 회담을 하면서 만찬 음식으로 나왔던 오므라이스와 돈가스는 친선의 상징이 아닌 조롱과 멸시의 상징으로 밖에 볼 수 없다.
사진 : 픽사베이, 글 : jihuni74
'문화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6 세월호 참사 9주기, 남은 이들이 해야 할 일, 그들을 그날을 기억하는 것 (29) | 2023.04.16 |
---|---|
성남시 역사의 시작, 8.10 성남 민권운동, 1971년 광주 대단지 사건 (10) | 2023.04.13 |
[역사 이야기] 일제 강제징용 해법 발표, 다시 살펴보는 1965년 한. 일 국교정상화 과정 (12) | 2023.03.12 |
[오늘의 역사] 최악의 그리고 현재 진행형의 자연재해 동일본 대지진 (11) | 2023.03.10 |
[역사저널 그날 400회] 한국 자동차 산업의 전환점 된 최초 국산차 '포니' 탄생 비화 (12)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