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무신정권기를 다루고 있는 역사 교양 프로그램 선을 넘는 녀석들 65회에서는 이 기간 있었던 고려와 몽골과의 전쟁의 과정과 삼별초의 항쟁을 되짚어 보았다. 고려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이 폭발한 무신의 난 이후 고려는 100년간의 무신정권기를 맞이했다. 이 기간 고려의 국가 운영 시스템을 붕괴되고 백성들의 삶은 더 피폐해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 시기 세계 최강국이라 할 수 있는 몽골의 대규모 침입으로 국가적 위기가 커졌다. 당시 집권층인 무신 세력은 그들의 권력 다툼에만 몰두했고 권력 유지가 중요했다. 국가적 위기에 대한 대응도 부실했다.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으로 이어지는 무신집권기를 끝내고 등장한 최씨 정권은 이전과 다른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무소불위의 권력을 사익을 위해 사용..
고려는 우리 역사상 최초의 통일 국가로 그 의미가 상당하다. 그 이전 통일신라 시대가 있었지만, 멸망한 고구려 유민들이 지도층에 있었던 발해의 존재는 통일 신라시대를 통일신라와 발해의 남북국 시대로 구분하게 하고 있다. 통일신라의 민족 통일은 완전하지 않았다. 이후 통일신라가 긴 세월이 흐른 후 후고구려, 후백제, 신라로 다시 갈라지는 과정을 거쳤다는 사실도 이를 설명해 준다. 다시 분열된 나라를 통일한 고려는 이후 거란에 멸망한 발해의 유민들까지 포함하여 민족 통합을 이뤘다. 이후 고려는 지방호족세력들의 힘을 억제하고 그 과정에서의 혼란기를 극복하고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했다. 거란과 여진의 침입으로 국가적 위기를 맞이했지만, 이를 이겨내고 나라의 더 단단히 했다. 이후 고려는 세계 여러 나라와 교류했고..
1970년대 대한민국은 유신헌법에 기초한 유신 체제 속에 있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사실상 행정, 입법, 사법부를 모두 통제할 수 있는 막강한 권한이 있었고 종신 집권의 길을 가고 있었다. 초 헌법적인 대통령 권한에 근거한 독재 정권은 언론과 대중문화는 물론이고 국민들의 삶까지 통제했다. 식자층을 중심으로 유신 체제에 대한 반발과 저항이 일어났고 시간이 흐를수록 유신반대 운동은 더 거세졌다. 이에 정권은 국가권력을 동원해 힘으로 유신반대 운동을 탄압했다. 1973년 8월에는 해외에서 유신반대 운동을 하던 야당 지도자 김대중을 일본에서 납치해 폭행, 감금하는 김대중 납치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훗날 지금의 국정원이 중앙정보부의 수행으로 밝혀진 이 사건으로 김대중은 죽음의 문턱까지 다다르기도 했다. 야당..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를 찾아나서는 프로그램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95회에서는 서울의 동쪽 끝에서 한강을 강장 먼저 맞이하는 강동구를 찾았다. 강동구는 흔히 강남, 서초, 송파와 함께 강남 4구로 불리며 높은 값과 그에 부수된 고층 아파트를 먼저 연상하게 된다. 하지만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에서는 현실 속 화려한 모습에 가려진 소박하면서 조용히 삶을 살아가는 이들을 만났다. 여정은 인도가 차량 도로보다 넓게 만들어진 한강의 다리 광진교를 건너며 시작했다. 광진교는 일제시대였던 1936년 완공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안전상 문제로 철거되어 재 시공되는 우여곡절이 있었다. 지금은 서울 강복 광진구와 강남의 강동구를 이어주는 다리로 보행자들의 편의를 우선으로 하는 다리로 자리했다. 실제 이 다리를 통해..
1972년 10월 선포된 유신헌법을 기초로 한 유신시대는 1979년까지 우리 사회를 지배했다. 이 시기 박정희 대통령은 행정, 입법, 사법을 모두 장악하는 절대 권력을 가졌고 사실상의 종신집권 체제를 구축했다. 이런 유신 체제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생기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하지만 당시 정권은 유신헌법에 보장된 대통령의 절대 권력을 바탕으로 이를 힘으로 탄압하고 억압했다. 이는 9차례에 거쳐 발효된 대통령의 긴급조치라는 초헌법적 권한으로 대표됐다. 역사저널 그날 286회에서는 1975년 발효된 긴급조치 9호를 중심으로 유신시대의 모습들을 살펴봤다. 1975년 5월 발효된 긴급조치 9회는 유신 체제에 반대하거나 부정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지하고 이를 처벌하도록 했다. 긴급조치에 근거한 처벌은 사법심사의..
역사 교양 프로그램 역사저널 그날 285회에서는 1972년 10월 유신의 배경과 진행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해 다뤘다. 10월 유신은 헌법 개정을 통해 3선 개헌에 성공한 박정희 대통령이 1971년 대통령 선거에 승리한 직후 대통령에게 초헌법적 권한을 부여하는 대한민국 헌정 사상 초유의 사건이었다. 이를 통해 박정희 대통령은 종신집권의 길을 열었고 이는 민주주의의 급격한 후퇴를 불러왔다. 10월 유신은 매우 신속하고 예상치 못한 시점에 일어났다. 1972년 10월 17일 정부는 돌연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그와 동시에 대통령은 특별선언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국회를 해산하고 이후 일체의 정치활동을 금지하며 개정 헌법을 국민투표에서 확정하고 헌정을 정상화한다로 요약된다. 1972년 계엄령 선포는 대통령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