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시즌 FA 투수 최대어로 평가되던 정대현이 롯데로의 입단식 행사를 가졌습니다. 아무도 예상못했던 전격 계약으로 롯데행을 확정지은 잠수함 정대현이 부산항에 완전히 닺을 내린 것입니다. 메이저리그 진출과 관련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던 정대현은 롯데의 끈질긴 구애에 마음을 돌렸고 롯데는 오랜 숙원이던 확실한 마무리 투수 영입에 성공했습니다. 정대현의 영입은 롯데의 팀 컬러를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대호가 없는 타선의 무게감은 분명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 대신 중반이후 지키는 야구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대현은 중간과 마무리 모든 부분에서 롯데 불펜진의 힘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카드입니다. 득점이 줄어드는 대신 실점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홈런 30개 ..
열심히 프로선수 생활을 하고 꾸준히 좋은 성적을 올린 선수들이 그에 대한 보상을 받게 하기위한 제도인 FA 제도, 하지만 그 수혜자는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제도의 문제점으로 FA 미아가 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특급 선수들을 제외하면 FA 제도는 빛좋은 개살구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그럼에도 선수들의 생애 한번 정도 밖에 쓸 수 없는 FA 권히 행사에 큰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한 가지 중요한 중요한 목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동기유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최근 경향은 자신의 역할을 FA 연한까지 이어온 선수에 대해 적절한 대우를 해주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대박은 아니더라고 자신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의 장이이기에 선수들은 FA에 대한 희망을 버릴 수 없습니..
올 해 만큼 뉴스거리가 풍성한 스토브 리그는 없었습니다. 아직 종료되지 않았지만 FA 선수들의 대 이동, 박찬호의 전격 한화 입단으로 마무리된 해외파 선수들의 복귀까지 많은 일들이 짧은 시간안에 이루어졌습니다. 이제 각 팀들은 외부에 눈을 돌리기 보다는 소속팀 선수들과의 연봉협상과 해외 전지 훈련 등 내부 정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때가 되었습니다. 이번 스토브리그 최고의 이슈 메이커 롯데 역시 외국인 선수의 조합을 만들어가는 것과 동시에 선수단 연봉협상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매년 큰 잡음을 냈던 연봉협상이었습니다. 그 중심에 있었던 이대호는 이제 일본 오릭스로 이적한 상황,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난 시즌 정규리그 2위의 팀 성적과 FA 영입시 롯데의 통 큰 행보는 기존 선..
프로야구 시즌을 치르다 보면 각 팀별로 오랜 기다림 끝에 도약의 기회를 얻는 선수들이 있습니다. 그런 선수들이 많아질수록 그 팀의 전력은 강해지고 선수층도 두터워질 수 있습니다. 기존 선수들을 또 다시 분발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부수적인 효과입니다. 2군에서 백업에서 그리고 주전으로 도약하는 선수를 보는 팬들 또한 프로야구에 더 큰 흥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올 한해 롯데 선수들 중에서 문규현은 이러한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선수였습니다. 오랜 무명선수 생활, 그리고 이어진 백업의 굴레, 그 두가지 관문을 뚫고 문규현은 롯데의 명실상부한 주전 유격수 자리를 확고히 했습니다. 이제 롯데의 주전라인업 구성에 있어 문규현의 존재는 우선순위에 고려될 정도입니다. 공격과 수비 모든 부분에서 상당한 ..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올 해 스토브리그 최고 화제의 팀은 롯데입니다. 이전과 다른 공격적인 투자로 FA 시장에 큰 돌풍을 일으켰습니다. SK 최강불펜의 핵심인 정대현과 작은 이승호는 롯데 유니폼을 입었습니다. 실패하긴 했지만 이대호에게도 상상을 뛰어넘는 큰 배팅으로 짠돌이 구단의 이미지를 크게 바꿔놓았습니다. 하지만 아직 롯데의 스토브리그 행보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소속 선수들의 연봉협상과 함께 외국인 선수의 영입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해마다 팀 전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외국인 선수, 그 중에서 좋은 외국인 선수의 영입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롯데뿐만 아니라 다른 팀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장원준의 입대공백으로 투수력 보강에 열을 올리고 있는 롯데로서는 두 명의 FA 영입과 함께 투수력 보강을 위..
올해 프로야구 스토브리그는 다양한 이야기거리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그 뉴스들을 쉴 틈을 주지않고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 이야기들 중 눈길을 끄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올 해 골든글러브를 빛낸 한화 유격수 이대수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오랜 무명선수 생활을 이겨내고 올 시즌 최고 유격수로 자리한 이대수는 인간 승리의 주인공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그가 시상식장에서 흘린 눈물은 그 동안 겪었던 인고의 시간들에 대한 많은 생각들이 그의 머리속을 스쳐지나같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2002년 프로에 입단한 이대수는 10년간 프로선수생활을 이어왔습니다. 30살을 넘긴, 중견선수 반열에 오른 그였지만 그 존재감은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입단 이후 주목받는 선수도 아니었고 프로선수에게 절대적인 기회의 문이 열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