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프로야구를 결산하면서 중요한 사건 중 하는 넥센의 선전이었다. 넥센은 전력약화와 새로운 홈구장 이전 등 어수선한 시즌 준비과정에도 시즌 초반부터 상위권 성적을 유지했고 정규리그 3위라는 성과를 거뒀다. 비록 포스트시즌에서 아쉽게 물러서긴 했지만, 넥센의 정규리그 3위는 누구도 예사이 못한 일이었다. 10개 구단 중 최하위의 선수 연봉에 강력한 외국인 선수를 보유할 수 없었고 운영비가 많이 들어가는 고척돔으로의 홈구장 이전은 재정이 넉넉지 않은 넥센에 큰 부담이었다. 여기에 시즌 도중 이장석 구단주가 송사에 휘말리는 악재까지 겹쳤다. 선수들의 집중하기 어려운 여건이었다. 하지만 넥센은 가지고 있는 선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며 최상의 결과를 만들어냈다. 그런 최상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데 큰 역할을 ..
상상 초월의 사건으로 어두워진 사회적 분위기와 경기 침체, 구단들의 눈치작전 등등의 요인이 더해지면서 좀처럼 뜨거워지지 않고있는 프로야구 FA 시장에 세 번째 계약 소식이 전해졌다. 그 주인공은 두산 내야수 이원석이었다. 이원석은 4년간 27억원에 삼성 이적을 확정했다. FA시장 첫 번째 타 팀 이적이었다. 100억대 계약 예기가 공공연히 나오고 있는 FA 시장에서 그의 계약은 크지 않지만, 이원석에게는 큰 의미가 있는 일이었다. 이원석은 올 시즌 후 FA 신청 여부를 두고 고민을 해야 했다. 2014시즌을 끝으로 군 상무에서 군 복무를 한 이원석은 2년간 1군 경기에 나설 수 없었다. 올 시즌 후반기 상무 제대 후 1군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고 한국시리즈에도 출전했지만, 그의 기량을 펼치기에는 기회가 부..
프로야구가 어느덧 후반기로 접어들었다. 팀 별도 차이는 있지만, 30경기 정도를 남겨둔 가운데 순위 경쟁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1위 두산은 이제 2위 NC의 추격을 따돌린 모습이고 2위 NC는 1위보다는 3위 넥센의 추격을 더 경계해야 할 상황이다. 그동안 안정적으로 3위 자리를 지켰던 넥센은 내심 2위 도전을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포스트시즌 진출이 사실상 확정된 1, 2, 3위 팀들과 달리 4, 5위권은 아직 복잡하다. KIA가 4위, LG가 5위에 자리하고 있지만, 6위 SK가 4위를 불과 한 경기차로 추격하고 있다. 일단 이들 세 팀이 포스트시즌 마지막 티켓을 놓고 경쟁할 가능성이 커졌다. 물론, 이들보다 아래에 있는 팀들도 희망은 남아있다. 7위 한화는 최근 불꽃 타선을 앞세워 3연..
올 시즌 하위권 전력이라는 평가에도 정규리그 3위로 순항하고 있는 넥센 히어로즈가 이 큰 위기에 봉착했다. 창단 이후 팀을 이끌던 실질적 구단주 이장석 대표가 사기, 횡령 등의 혐의로 피소됐기 때문이다. 애초 과거 팀이 어려울 때 받았던 금원의 성격을 놓고 벌어진 분쟁이 고소, 고발전으로 번지면서 불거진 일이다. 내용은 충격적이었다. 20억원의 용도는 이장석 대표가 주장한 대로 단순 대여금이 아닌 지분 투자인 것이 분명해졌다. 즉, 히어로즈 구단은 투자자에게 약속한 대로 40%의 지분을 넘겨야 한다. 이느 구단이 경영권에 영향을 주는 사안이다. 여기에 구단 운영과정에서 이장석 대표와 단장이 구단의 자금을 개인적 용도로 사용했다는 횡령 혐의는 중대 범죄다. 영장 실질 심사를 통해 이장석 대표의 구속은 면했..
8월의 폭염과 함께 계속되고 있는 롯데의 추락이 멈추지 않고 있다. 롯데는 8월 11일 한화전에서 2 : 3으로 패하면서 4연패 늪에 빠졌고 순위가 8위로 떨어졌다. 불과 일주일 전만 해도 5위권에 자리했던 롯데였지만, 이제는 5위 KIA와의 승차가 2.5 경기차로 더 늘어났다. 롯데는 경기를 앞두고 주전 2루수 정훈과 백업 포수 안중열을 2군으로 내리고 그 자리를 신예 내야수 황진수와 프로데뷔 후 첫 1군 엔트리에 이름을 올리게 된 신인 포수 강민국으로 대신하는 라인업 변화로 분위기 전환을 기대했다. 효과도 있었다. 정훈을 대신해 주전 2루수로 출전한 이적생 김동한은 1안타 1타점, 1볼넷과 적극적인 주루, 안정된 수비로 팀에 활력소가 됐다. 하지만 연패를 끊을 정도의 임팩트는 아니었다. 전날 연장 끝..
후반기 5위 자리를 지키며 순항하던 롯데가 8위 LG에 제대로 일격을 당했다. 롯데는 7월 28일 LG와의 주중 3연전 마지막 경기에서 1회 말 4실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2 : 5로 패했다. 롯데는 주중 3연전 1승 2패로 위닝 시리즈를 내줬고 6위 KIA에 1경기 차로 쫓기게 됐다. 최근 팀 분위기가 내림세에 있었던 LG는 롯데는 상대로 시리즈 내내 타선이 활발한 모습을 보이며 오랜만에 위닝 시리즈를 만들어냈다. 팬들의 감독 경질 여론까지 거세지는 등 내우외환에 시달리던 LG로서는 분위기 반전을 이룰 기회를 잡았다. 롯데는 1승 2패의 시리즈 결과도 좋지 않았지만, 경기 내용에서 아쉬움이 많았다. 화요일 경기 대폭발한했던 타선의 뜨거웠던 방망이가 이후 2경기에서 급격히 식었다. 중심 타자 황재균, 강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