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8년 중국과 맞섰던 동아시아의 강국 고구려가 멸망했다. 고구려는 중국 통일 왕조였던 수나라와 당나라와의 계속된 전쟁에서 승리하며 굳건함을 보였지만, 그 전쟁으로 국력은 나날이 쇠퇴했다. 여기에 신라와 당나라가 군사 동맹을 체결하며 고구려는 남쪽과 북쪽에서 동시에 적을 상대해야 했다. 신라를 견제하는 역할을 했던 백제가 660년 나. 당 연합군에 멸망하면서 고구려는 외교적 고립에 빠졌다. 또한 절대 권력자가 연개소문의 사망 이후 권력층의 내분이 겹쳤다. 고구려의 내분은 나. 당 연합군에 큰 호재였다. 결국, 고구려는 그 운명을 다하고 말았다. 고구려의 멸망으로 고구려가 장악했던 만주, 요동지역은 힘의 공백이 발생했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대동강 이남으로 그들의 영토를 한정했다. 당나라는 옛 백제지역과..
1980년대 제5공화국 시대의 궤적은 따라가고 있는 역사저널 그날 305회에서는 우리 정치사의 중요한 인물이었던 김영삼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관계를 다시 조명했다. 이 과정에서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에 이어서 치러진 13대 대통령 선거의 막전 막후 이야기도 함께 다뤘다. 김영삼과 김대중은 영어 약자인 YS, DJ라는 애칭으로 자주 불릴 만큼 긴 세월 정치 지도자로 그 자리를 지켰고 국민적 관심의 대상이었다. 이들은 1970년대와 80년대 독재세력에 맞선 민주화 투쟁의 역사에서 중요한 구심점이지 동반자이기도 했고 정치적 라이벌로 치열하게 대결하기도 했다. 두 정치 지도자는 14대 김영삼, 15대 김대중 대통령까지 차례로 대통령에 자리에 오르며 각각 절정을 맞이했다. 정치인 김영삼, 김대중의 남긴 유산..
1950년 6월 25일 시작된 민족의 비극 6.25 한국전쟁은 수많은 사상자와 함께 인적, 물적 피해를 남기고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을 통해 비극의 시간을 멈췄다. 하지만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우리는 종전이라 말하기도 하지만, 당시 휴전 협정은 종전이 아닌 잠시 전쟁을 멈추는 휴전이었다. 이후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남과 북은 엄청난 군사력으로 대치중이고 크고 작은 군사적 충돌이 지속됐다. 같은 민족이지만, 우리 민족은 남북으로 갈라져 서로를 적대시하며 살아가고 있다. 6.25 한국전쟁의 중요한 원인이었던 미국과 소련, 두 강대국의 냉전체제는 그중 하나인 소련의 붕괴와 공산주의 붕괴로 사라졌지만,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여전히 철 지난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념 논쟁이 우리 사회 상당 부분을 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탄에 사망한 이후 정국은 큰 혼란에 빠져들었다. 종신 집권을 위한 유신 체제 속 20년 가까이 절대 권력을 지켰던 대통령과 그의 최측근인 중앙정보부장의 부재로 인한 일이었다. 권력 공백기였지만, 한편에서는 민주화에 대한 기대감도 가득했다. 박정희 대통령의 뒤를 이어 대통령 자리에 오른 최규하는 긴급조치를 해제했다. 이를 통해 가택연금 등으로 정치 활동이 불가능했던 김영삼, 김대중 등 야권 지도자들이 정치 일선에 복귀했고 투옥 중이던 민주화운동 인사들도 풀려났다. 최규하 대통령은 1년 내에 개헌과 함께 민주주의 선거를 통한 차기 정부 이양을 약속했다. 멈췄던 민주주의 시계가 다시 작동했다. 민주주의가 회복되는 서울의 봄은 그렇게 시작됐다. 하..
1979년 10월 26일은 또 다른 10년인 1980년을 앞둔 시점이었거 우리 현대사의 물줄기를 바꾼 날이었다. 그날 청와대 인근 궁정동이 안가에서 수차례 총성이 있었고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 사상자 중에는 박정희 대통령도 있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그의 최측근 인사인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탄에 목숨을 잃었다. 10. 26 사태로도 불리는 그 사건으로 1970년대 우리 정치, 사회, 문화 전반을 지배했던 유신 체제가 막을 내렸다. 이로써 1961년 군사 쿠데타로 최고 권력자 자리에 올랐고 3선 개헌과 유신헌법 선포로 종신집권을 길을 갔던 박정희 대통령은 허무하게 그 자리에서 내려왔다. 역사 교양 프로그램 역사저널 그날 297회에서는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를 부른 1979년 10월 26일 그날의 사건..
역사 교양 프로그램 역사저널 그날 296회에서는 신년 특집으로 국난 극복의 역사적 사건을 재조명했다. 이번 주는 지난주 임진왜란에 이어 6.25 한국전쟁,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장면이었던 인천상륙작전을 주제로 막전 막후의 이야기를 다뤘다. 1950년 9월 15일 단행된 인천상륙작전은 6월 25일 전쟁 발발 이후 수세적 위치에 있었던 국군과 유엔군이 이를 극복하고 공세로 전환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이 작전으로 낙동강 전선에 몰려있던 북한군은 보급이 차단되는 한편 고립되어 괴멸될 수밖에 없었다. 인천상륙작전 이후 국군과 유엔군은 단시간 내 수도 서울을 수복하고 10월 1일 3.8선을 넘어 북진을 단행했다. 개전 이후 6월도 안되어 일어난 반전이었다. 인천상륙작전의 중심인물은 당시 유엔군 사령관이었던 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