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5월 8일은 음력으로 4월 8일은 초파일 석가 탄신을, 부처님 오신 날이었다. 매년 봄의 정점에 찾아오는 부처님 오신 날에는 그동안 거리를 수놓은 화려한 연등과 연등 행진 등 행사가 있었다. 연등행사는 고려 시대 나라의 가장 큰 행사였고 숭유억불 정책, 불교에 대한 억압 정책을 펼쳤던 조선 시대에도 왕실과 민간에서 중요한 행사로 여겨지며 많은 이들이 연등행사를 즐겼다. 이번 부처님 오신 날에는 그동안 코로나 사태로 실시하지 못했던 거리 연등 행사가 열렸도 많은 이들이 보다 편하고 자유롭게 부처님 오신 날을 경축하고 즐길 수 있었다. 이렇게 종교를 초월해 부처님 오신 날은 봄의 화사함과 어울리는 날이고 불교계에서도 가장 중요한 날이다. 이런 불교계에는 현대사 속 가장 아프고 치욕적인 역사적 사건이..
1989년 11월 외신은 충격적인 뉴스로 일제히 보도했다. 당시 동. 서독 분단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붕괴됐기 때문이었다. 그것도 양국 정부나 관계 당국이 아닌 양 측 시민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동독과 서독의 국민들은 장벽 위에서 함께 만나 기쁨을 나누기도 하고 망치와 해머, 심지어 중장비를 동원해 장벽을 부수기도 했다. 수십 년 세월 베를린을 갈라 놓았던 콘크리트 장벽은 한순간 사라졌다. 이 사건 이후 독일은 1990년 10월 긴 분단의 세월을 끝내고 통일 독일로 거듭났다. 이런 베를린장벽 붕괴를 놓고 많은 어느 날 갑자기 일어난 일이라 말한다. 실제 베를린 장벽 붕괴는 여러 우연과 실수, 사건이 결합된 사건이었다. 동독 당국의 말실수와 이를 오해한 한 언론사의 오보, 마침 베를린 장벽 인근에서 ..
2월 24일 러시아의 전격적인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전의 가능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수개월간 지속된 전쟁에서 수많은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했고 그 피해는 누적되고 있다. 전쟁의 참상이 시시각각 전해지면서 침략자 러시아 그리고 러시아의 지도자 푸틴에 대한 분노도 커지고 있다. 이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국가들은 대 러시아 경제제제를 강화하며 러시아를 압박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에서 대한 군사적, 인도적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개전 초기 버티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우크라이나는 전 국민이 힘을 합쳐 침략자와 맞섰고 많은 곳에서 러시아의 공세를 이겨내며 영토 밖으로 러시아 군대를 밀어내는 성과를 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는 거의 정상을 회복하고 있다. 이에 러시아는 공세의 초점을 ..
이방원의 마지막 고민이었던 후계 구도가 정리됐다. 이방원은 계속된 비행과 왕의로서의 자질 부족 등을 문제를 들어 양녕대군의 폐세자를 결정했다. 그는 대신들과의 논의 과정을 거쳤지만, 폐세자의 명분을 얻기 위한 과정에 불가했다. 이방원의 마음속에서 세자는 이미 지워졌고 그 자리는 충녕대군이 대신했다. 충녕대군 역시 왕위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결국, 양녕대군은 세자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는 마지막까지 세자 자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지만, 이미 자신에게서 마음이 떠난 아버지 이방원을 뜻을 알고 더는 버틸 수 없었다. 남은 건 그의 거취 문제였다. 권력투쟁에서 밀려난 왕족의 운명을 대부분 죽음으로 귀결됐다. 양녕대군의 존재는 이방원을 물론이고 충녕대군에게도 부담이 될 수 있었다. 이미 이방원은 왕..
1776년 대서양 연안을 중심으로 한 13개 주가 모여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하며 시작된 미국의 역사는 끊임없는 개척의 역사이기도 했다. 대서양 연안에서 미국은 점점 서쪽으로 그 영토를 확장했고 마침내 태평 연안에 이르렀다. 이후 미국은 북극권의 알래스카와 태평양의 섬 하와이까지 그들 영토에 포함하면서 미국 국기 속 별 개수와 같은 50개 주로 이루지는 광대한 영토의 미합중국을 이뤄냈고 세계 최강국이 됐다. 이런 영토 확장의 역사에서 많이 나오는 말이 개척정신, 프런티어 정신이다. 새로운 땅을 찾아 그 땅을 개척하는 건 건국 이후 미국인들에게는 일종의 사명이었다. 과거 청교도들이 종교의 자유를 찾아 미 개척지인 미국 동부 해안에 터전을 잡은 이후 미국은 신대륙에서 그 영역을 넓히고 고도의 민주주의 체..
이방원에게 수성을 위한 길에서 중요한 문제가 등장했다. 여전히 경계를 늦추지 못하고 있는 중전 민씨 집안에 대한 처리와 후계자 결정에 관한 일이었다. 이방원은 치열한 권력 투쟁과 잔혹한 숙청 등을 통해 강력한 왕권을 구축했지만, 차기 권력에 대한 걱정을 마음 가득 안고 있었다. 자칫 자신의 구축한 왕 중심으로 중앙집권 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다면 그가 권력을 잡기 위해 흘린 피와 각종 과오에 대한 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이었다. 이는 자신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도 연결될 수 있는 일이었다. 이에 그는 매사에 위험 세력의 발생 가능성을 살피고 차기 권력에 방해되는 요소들을 제거하려 했다. 여전히 두 명의 장성한 처남이 있는 민씨 가문은 이방원에게는 큰 부담이었다. 정치적 영향력이 컸던 장인 민제는 병으로 사망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