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프로야구가 발전하면서 잠수함 투수, 언더핸드 투수의 입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정대현이라는 걸출한 마무리 투수가 있고 각 팀별로 그와 비슷한 유형이 투수들이 활약을 하고 있지만 선발 로테이션에서 꾸준히 활약하는 선수를 찾기는 이제 거의 힘들어 졌습니다. 예전 한 시대를 풍미했던 한희민, 이강철 선수들 이후 풀타임 언더핸드 선발투수는 오랜 기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속에서 작년 시즌 언더핸드 선발의 명맥을 이어줄 재목이 나타났습니다. 롯데의 이재곤 선수가 그 선수입니다. 이재곤 선수는 고교시절 그 실력을 인정받은 선수였고 롯데의 상위 지명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프로무대 적응의 어려움과 부상이 겹치면서 이렇다할 활약을 하지 못했고 조기에 경찰청 입대를 선택했습니다. 20대 초반 기량..
최근 FA 영입 선수들의 실폐사례가 늘어나면서 프로야구 각 팀들은 자체 선수육성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실제 팀 성적에 읶있어서도 선수육성의 성과에 따라 그 희비가 엇갈리는 상황입니다. 상위권을 점하고 있는 팀들은 대부분 2군 선수들의 육성을 통한 선수자원의 확충과 함께 그에 필요한 연습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두산은 리그 최고를 자랑합니다. 프로야구 원년부터 두산은 2군 운영을 활성화했고 전용 연습장에서 키워진 선수들은 두산의 주축 선수로 하나 둘 성장했습니다. 2000년대 들어서도 두산의 유망주들은 2군 시스템 속에서 담금질 되고 끊임없이 1군 무대에 올라와 자리를 잡았습니다. 리그 최고의 좌타자로 성장한 김현수 선수를 비롯해서 그 숫자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입니다. 강력한..
올 시즌을 앞둔 롯데의 외야는 분주합니다. 주전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기 때문입니다. 작년 시즌 혜성같이 등장한 전준우 선수가 3루수 전향을 준비하고 있고 또 한명의 경쟁자 박정준 선수가 트레이드 되었지만 경쟁구도는 변함이 없습니다. 홍성흔 선수가 외야 겸업을 준비하고 있고 유틸리티 선수로 활약하는 정보명 선수도 외야수로 한 자리를 노리고 있습니다. 작년 시즌 주전급으로 경기에 나섰던 김주찬, 손아섭 선수가 한 발 앞서가는 인상이지만 수비의 약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선수들이기에 풀타임 주전으로서 뭔가 허전함을 주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 외 선수들 역시 각자의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공수를 모두 겸비한 주전으로서는 아쉬움이 남는 선수들이 대부분입니다. 외야자원은 많지만 확실한..
프로야구 제 9구단 창단이 첫 발을 내 딛었습니다. KBO 이사회는 롯데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창원을 연고지로 하는 엔씨소프트의 신생 구단 창단을 사실상 승인했습니다. 아직 세부 협상이 남아있지만 엔씨소프트의 제 9구단 창단은 계획만이 아닌 현재 진행형의 사안이 되었습니다. 당초 그 결정의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깬 것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신생구단 창단의 명확한 요건을 함게 확정하면서 향후 추가 창단에 대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도 성과중 하나였습니다. KBO로서는 신생구단 창단에 대한 호의적 여론과 팬들의 강력한 요구를 무시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이로서 오랜기간 유지되던 8개구단 체제는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고 프로야구 중흥을 위한 새로운 발판이 마련되었습니다. 새로운 구단의 창단은 프로야구..
프로야구 제 9구단 창단 문제가 해를 넘기도 또 한달을 넘겨서도 결론이 나지 않고 있습니다. 통합 창원시의 강력한 의지와 엔씨소프트의 확고한 창단 의사를 확인했지만 이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9구단 창단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나 일정 등에 관한 기준조차 마련하지 못하면서 찬성도 반대도 아닌 어정쩡한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작년 시즌 프로야구는 국제 대회의 잇다른 선전과 함께 관중수의 폭발적인 증가로 최고 인기스포츠의 입지를 다질 수 있었습니다. 경제위기 이후 현대유니콘스의 매각조차 힘들어 8개구단 체제 유지마저 힘들던 시절을 뒤로하고 새로운 구단을 창단하려는 움직임 구체화 될 정도로 시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이에 KBO 역시 신생 구단 창단을 통한 외연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했고..
2000년대 후반, 프로야구 도루 부분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선수가 있습니다. LG 이대형 선수가 그 선수입니다. 2008년 시즌 부터 3년 연속 60도루 이상을 기록하는 대 기록을 수립했고 도루왕 타이틀에 있어 타 선수의 추격을 불허할 만틈 도루와 경쟁에 있어 이대형 선수는 독보적인 존재였습니다. 지난 시즌 김주찬 선수의 거센 도전을 받았지만 시즌 막바지 대 역전승을 이뤄낼 만큼 도루왕에 대한 그의 의지와 기량은 리그 최고라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팬들은 그에게 슈퍼소닉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고 실제 이대형 선수의 도루 능력은 타 팀에게는 골치거리가 아닐 수 없었습니다. 도루의 3요소인 빠른 스타트, 달리는 스피드, 재치있는 슬라이딩을 모두 갖춘 이대형 선수의 출루는 또 하나의 베이스를 허용..